‘결혼 없이 동거 가능’ 첫 60%대…10명 중 7명은 ‘결혼식 과도’
‘가사 공평 분담해야’ 65%, 실제 공평하게 분담하는 경우는 20%뿐
‘부모 노후, 가족 책임’ 첫 10%대…가족관계 만족↑·학교생활 만족↓
한국민 절반이 결혼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하지 않는 이유로는 10명 중 3명이 결혼자금 부족을 꼽아 가장 많았다.
10명 중 7명은 결혼 없이 동거가 가능하다고 답했으며, 6명은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공평하게 분담하는 경우는 2명에 그쳤다.
가족 관계 만족도는 2년 전보다 올랐지만, 학교생활 만족도는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 ‘결혼해야 한다’ 50.0%에 그쳐…28.7%는 ‘결혼자금 부족해 결혼 안 해’
한국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022년 사회조사’에 따르면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은 50.0%로 2년 전 조사 때보다 1.2%포인트 감소했다.
‘결혼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가 43.2%, ‘하지 말아야 한다’가 3.6%였다. 국민의 절반 가까이인 46.8%가 결혼을 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남자의 경우 절반 이상인 55.8%가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여자는 44.3%만이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했다.
미혼 남자는 36.9%가, 미혼 여자는 22.1%가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해 남녀 사이의 비율 차이가 더 벌어졌다.
연령대별로 ‘결혼해야 한다’는 응답 비중을 보면 10대(13∼19세)는 29.1%, 60세 이상은 71.6%로 연령이 올라갈수록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결혼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결혼자금이 부족해서’가 28.7%로 가장 많았다. ‘고용상태가 불안정해서'(14.6%)가 그 뒤를 이어 경제적인 이유가 첫손에 꼽혔다.
성별로 이유를 보면 결혼자금 부족 다음으로 남자는 고용상태의 불안정(16.6%), 여자는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5.0%)를 꼽아 차이를 보였다.
‘남녀가 결혼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년 전보다 5.5%포인트(p) 늘어난 65.2%로 처음으로 60%대를 넘어섰다.
결혼 없이 동거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2012년 45.9%, 2020년 59.7% 등으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2년 전보다 4.0%포인트 상승한 34.7%로 역시 증가세를 보였다.
우리나라 결혼식 문화가 과도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73.1%였다. 2년 전보다는 1.2%포인트 줄었다.
◇ 64.5%는 ‘가족관계 만족’…65%는 ‘가사 공평하게 분담해야’
전반적인 가족 관계에 대해서는 64.5%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2년 전보다 5.7%포인트 증가했다.
관계 유형별로 보면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2.2%포인트 증가한 78.6%로 가장 높았다.
배우자와의 관계(72.1%), 자기 부모와의 관계(71.1%), 배우자 부모와의 관계(60.8%) 등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증가했다.
코로나19 등으로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늘면서 친밀도도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
가사를 공평하게 생각해야 한다는 비중은 64.7%로 2년 전보다 2.2%포인트 증가했다.
아내가 주도해야 한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34.8%에서 33.3%로 소폭 줄었다.
그러나 실제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남자가 21.3%, 여자가 20.5%로 20% 남짓에 그쳤다.
◇ ‘부모 노후, 가족이 돌봐야’ 첫 10%대…62.1%는 ‘가족·정부·사회 책임’
‘부모의 노후를 가족이 돌봐야 한다’는 응답은 2년 전보다 2.3%포인트 줄어든 19.7%였다. 조사가 시작된 2008년 이후 처음으로 10%대로 내려갔다.
‘가족·정부·사회가 함께 돌봐야 한다’는 응답이 62.1%로 가장 많았다. 2년 전보다 0.5%포인트 증가했다.
‘부모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견해가 12.6%로 그 뒤를 이었다.
◇ 중고등학생 절반만 ‘학교생활 만족한다’…5명 중 3명은 미세먼지 불안
학교생활에 만족한다고 답한 중·고등학생은 51.1%로 2년 전보다 8.2%포인트 감소했다.
학교 시설(12.4%), 교육 방법(10.9%), 학교 주변 환경(10.2%) 순으로 불만족도가 높았다.
만족도는 교우 관계(74.1%), 교사와의 관계(64.1%), 교육 내용(55.7%), 학교 시설(52.7%) 순으로 높았다.
자녀 교육비가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주의 비중은 57.7%로 6.4%포인트 줄었다.
교육비의 부담 요인은 학원비, 과외비, 인터넷 수강료 등 학교 납입금 외의 교육비를 꼽는 사람이 72.0%로 가장 많았다.
환경 문제에 대해서는 미세먼지에서 불안감을 느끼는 사람이 64.6%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기후변화(45.9%), 방사능(43.4%), 유해 화학물질(42.5%)의 순으로 불안감을 느꼈다.
(c) 연합뉴스 협약전재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