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보워 당선인측 ‘GDP대비 정부부채 50%로 확대 계획’ 부인

15일(현지시간)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 당선인이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카타르 경제 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5.16

프라보워 대통령 당선인이 경제성장을 위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을 50%로 올릴 것이라는 언론 보도에 대해 당선인 측은 그런 계획이 없다고 부인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16일(현지시간) 전했다.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 당선인 측근이자 조카로서 당선인 경제팀과 현 정부 재무부 간 재정 관련 토론을 이끄는 토마스 지완도노는 전날 당선인이 해당 비율에 대한 어떤 목표를 정하지도 않았고 재정 준칙을 따를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토마스는 “우리는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에 관해 전혀 논의하고 있지 않다”면서 “이는 공식적인 정책 계획이 아니다”고 덧붙였다.

그의 이런 언급은 블룸버그통신이 프라보워 당선자가 향후 5년에 걸친 임기 동안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을 현재의 40% 미만에서 점차 올려 50%에 이르도록 하길 원한다고 보도한 이후 나왔다.

보도 후 인도네시아 재정 문제에 대한 우려로 지난 14일 현지 외환시장과 증권시장이 크게 출렁거렸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오는 10월 취임할 예정인 프라보워 당선자는 지난달 인도네시아가 경제발전 프로그램 지원을 위해 정부 부채를 다룰 때 더 대담해져야 한다면서 (그렇게 해서) 자신이 제시한 경제성장률 8% 목표를 달성하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재정적자 규모를 GDP의 3%로 묶어 놓은 인도네시아 재정 준칙에 대해서는 이를 변경할 계획이 없다면서도 재정 준칙이 “자의적인 숫자에 불과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국제 신용평가사들과 투자자들은 그가 지난 2월 대선 과정에서 약속한, 예산이 많이 드는 프로그램들을 어떻게 이행할지 등을 두고 그의 재정정책을 면밀히 지켜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네시아의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2022년 기준 39.9%이며 지난해 재정 적자는 GDP의 1.65% 수준으로 12년 만에 가장 낮았다.

인도네시아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연 5%대 경제성장률을 유지했다. 국제 신용평가사나 국제통화기금(IMF) 등은 인도네시아가 당분간 비슷한 성장률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한다. (경제부)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