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한국인 대상 온라인 사기, 각별한 주의 필요

▲관세청 사기 사칭 주의 안내 자료

JIKS 11 / 서하랑

인도네시아에 거주하거나 방문하는 대한민국 국민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거래 및 다양한 금융 사기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교민 사회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사기 수법이 점차 다양화되고 지능화됨에 따라 예방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 외교부에 따르면, 최근 해외 우리 국민을 대상으로 한 금융 사기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다.

주인도네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역시 현지 사기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강조하고 있다. 외교부와 대사관은 이러한 사기 시도에서 한국 국민이 주요 표적이 되고 있음을 경고한다.

최근 인도네시아에서 발생하는 사기 피해는 온라인 플랫폼 이용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 인도웹 등 일부 교민 커뮤니티 게시글에 따르면, 온라인 중고 거래 시 대금만 편취하거나 물품을 보내지 않는 사기가 빈번하다.

또한 SNS나 채팅 앱을 통해 접근한 뒤 금전을 요구하는 ‘로맨스 스캠’이나 투자 사기도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일부 지역이 이러한 사이버 범죄 조직의 거점으로 활용된 사례도 있다.

이러한 온라인 기반 사기는 대면 없이 진행되어 상대방 신원 확인이 어렵고, 심리적 취약점을 노리는 특징이 있다.

전화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전통적인 피싱 및 스미싱 수법도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 범죄자들은 주인도네시아 대사관, 영사콜센터, 수사기관 등을 사칭해 개인정보나 자금 이체를 요구한다.

외교부 안내에 따르면, 어떠한 경우에도 정부 기관은 전화나 문자로 금융 정보를 직접 요구하지 않는다. 이러한 유형의 연락을 받으면 즉시 사기를 의심하고 대응을 중단해야 한다.

의심스러운 연락은 본인이 알고 있는 해당 기관의 공식 대표번호로 직접 확인하는 절차가 필수적이다.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및 금융 사기로부터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는 교민 개개인의 경각심과 예방 노력이 중요하다.

외교부와 대사관은 출처가 불분명한 연락 및 링크를 경계하고 즉시 삭제할 것을 당부한다. 정부 기관을 사칭한 연락은 반드시 공식 채널로 확인해야 한다.

온라인 거래 및 관계 형성에 신중을 기하며, 만난 적 없는 상대방의 금전 요구는 사기 가능성을 높게 의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정보 관리도 철저히 해야 한다.

사기 피해 발생 시 즉시 현지 경찰에 신고하고, 주인도네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또는 지역 총영사관에 연락해 영사 조력을 요청할 수 있다. 교민 사회 전체의 경계심 유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