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인도네시아 구리코일 시장 동향

인도네시아 구리코일 시장 동향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 7409.11 (구리의 판ㆍ시트(sheet)ㆍ스트립 중 코일 형태)

구리는 우수한 열 및 전기 전도성이 뛰어나고 두드리면 얇게 펴지는 전성과 늘어나는 연성의 특성, 다른 금속과 혼합이 용이한 합금성의 특성을 가진 가공성이 높은 금속이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구리는 전기 장비 제조, 자동차, 건설, 통신, HVAC(난방, 환기, 공기조절) 시스템 등에 사용되며, 산업 구조의 중심에 자리잡게 되었다.

널리 사용되는 형태 중 하나는 구리 코일이다. 구리 코일이 사용되는 제품의 예로는 전선 및 케이블, 변압기 등 전자 제품, 냉장 시스템의 응축기 및 증발기, 전기자동차의 전기 모터, 태양광 패널 및 풍력 터빈 등이 있다.

시장동향

인도네시아 산업부 ‘2015년~2035년 국가 산업발전 마스터 플랜(RIPIN)’에 따르면, 증가하는 구리 제품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생산 능력을 개발하고 확장하는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는 구리 음극 및 구리/황동 시트 생산에 중점을 두었으며, 구리 음극 생산에 대한 목표를 달성하였다. 2020년~2024년에는 구리 합금과 시트 생산, 2025년~2035년에는 전기 부품에 들어가는 구리선의 생산을 계획 중이다.

<2015년~2035년 국가 산업발전 마스터 플랜(RIPIN)>

No

우선 산업

업종

2015-2019

2020-2024

2025-2035

9 기초 금속 및

비금속 광물 산업

비철금속, 비금속 가공 및 정제 산업

1.  Alumina SGA (Smelter Grade Alumina) and Alumina CGA (Chemical Grade Alumina)

2.  Alumunium, Alumunium alloy, billet, and slab

3.   Nickel matte

4.  구리음극

(Copper Cathode)

5.  구리/황동시트

(Copper/Brass Sheet)

6.   Nickel Hydroxide

7.   Fe Ni Sponge, Luppen Fe Ni,          Nugget Fe Ni

1.    Alumunium and advanced Alumunium alloy

2.    Mixed Hydroxide Precipitate (MSP), Sulfide Precipitate (MSP), Nickel Metal

3.      구리합금(Copper alloy)

4.     구리/황동시트

(Copper/Brass Sheet)

1.    Alumunium dan advanced Alumunium alloy

2.    Nickel Electrolytic, Nickel Sulfate, Nickel Chloride

3.    동선 및 전자 부품

(Copper wire and

electronic components)

[자료: 2015년~2035년 국가 산업발전 마스터 플랜(RIPIN),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수입동향

구리코일(HS CODE 740911)에 대한 인도네시아의 최근 5개년 수입 동향을 살펴보면 세계 경제 성장의 약화, 코로나19등의 요인으로 잠시 주춤했으나 경기회복의 진행으로 2021년부터 구리 수입액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22년에는 전년 대비 74.2% 증가한 5,235만 달러를 기록했다.

<인도네시아 구리코일(HS CODE 740911) 수입동향(2018~2022년)>

(단위 : 만 달러, %)

연도

수입금액

증감률

2018

2,830

2019

2,201

-22.2

2020

1,330

-39.6

2021

3,006

126.0

2022

5,235

74.2

[자료 :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2022년 인도네시아 구리코일 제품(HS 코드 7409.11)의 주요 수입국은 한국(27%), 일본(24%), 중국(23%) 순이다. 2020년 시장점유율 16%로 3위의 수입국이었던 한국의 점유율이 2022년 27%로 증가했으며 일본의 경우 2021년 점유율 36%에서 2022년 24%까지 8%p 감소하였다.

<인도네시아 구리코일(HS CODE 740911) 주요 수입 국가(2018~2022년) >

(단위 : 달러, %)

순위 국가 수입액 점유율
2018 2019 2020 2021 2022 2022
1 한국 2,603,647 2,799,406 2,173,762 7,576,982 14,359,396 27.43
2 일본 12.377,714 9,683,139 6,286,303 11,091,749 12,497,481 23.87
3 중국 3,914,360 2,990,431 2,652,553 6,365,773 11,995,470 22.91
4 핀란드 1,841,167 1,701,269 712,650 8,764,167 16.74
5 태국 1,619,853 1,770,704 1,131,896 2,241,772 1,917,664 3.66
세계(총계) 28,302,618 22,012,315 13,296,082 30,061,977 52,348,205 100

[자료 :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유통구조

인도네시아의 구리코일 관련 제품 유통은 B2B 형태로 이루어지며, 수입업체가 구리코일을 인도네시아 제조업체 또는 도매 유통업체에 판매하는 구조이다.

<인도네시아 구리 제품 유통 구조>

[자료: KOTRA 자카르타무역관 정리]

경쟁동향

인도네시아에서 구리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은 다수 존재하며 이중에는 외국기업의 자회사도 포함된다.

<인도네시아 구리 제품 생산 기업>

기업명

기업로고

기업정보

1

PT Sumi Indo Kabel Tbk

– 설립연도: 1981년
– 국가: 인도네시아

   * 일본 스미토모 전기 산업이 93.06%의 지분을 보유

– 웹사이트: https://www.sikabel.com/new/home/

2

PT Voksel Electric Tbk

– 설립연도: 1971년
– 국가: 인도네시아

   * 일본 회사와의 합작 회사: 쇼와 전선 & 케이블 주식회사
– 웹사이트: http://voksel.co.id/en/

3 PT. Tembaga Prima Indonesia

– 설립연도: 2019년
– 국가: 인도네시아

   * Indonesia Royal Resources Group Indonesia의 자회사
– 웹사이트: : https://www.imligroup.com/

4 PT. Prima Copper Industri

– 설립연도: 2005년
– 국가: 인도네시아

   * Ciquita Group 의 자회사
– 웹사이트: https://primacopper.com/en/

[자료 : 각 기업 홈페이지]

관세율 및 수입규제

구리제품(HS Code 7409)의 경우, 인도네시아 통관 시 AK-FTA 또는 IK-CEPA를 활용하면 관세율 0%를 적용받는다.

<구리제품(HS CODE 7409) 하위 코드별 관세율>

(단위: %)

HS 코드

관세율

MFN

특혜 관세율

AK-FTA

IKCEPA

RECP-Korea

7409.11.00

5

0

0

3.5

7409.11.00

5

0

0

3.5

7409.21.00

5

0

0

3.5

7409.29.00

5

0

0

3.5

7409.31.00

5

0

0

3.5

7409.39.00

5

0

0

3.5

7409.40.00

5

0

0

3.5

7409.90.00

5

0

0

3.5

[자료: 인도네시아 관세청

(AK-FTA) PMK 45/PMK.010/2022 / (IK-CEPA) PMK 227/PMK.010/2022 / (RCEP) PMK-223/PMK.010/2022]

 규제의 경우, 국가 표준 인증 제도(SNI)가 있다. SNI는 강제 인증 품목과 인증 의무가 없는 자발적 인증 품목으로 구분되며, HS CODE 7409.11은 자발적 인증 품목에 해당한다.

시사점

인도네시아에서 구리 코일은 전자, 건설, 자동차 등의 산업의 수요와 인프라 프로젝트의 발전으로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구리 코일 제품에 대한 인도네시아 자체 생산의 부재는 한국 기업들에게 상당한 시장의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국제적인 공급자 사이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특정 산업의 요구사항과 선호도를 파악하고 우수한 품질과 성능을 강조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더불어 수입 관세, 수입 허가서, 국가 표준(SNI) 등과 관련한 인도네시아 정부 규정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규제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료: 인도네시아 재무부, 인도네시아 관세청, 인도네시아 통계청, 인도네시아 무역부, 국가 산업발전 마스터 플랜(RIPIN), 각 업체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