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설’ 대신 ‘음력 설’ 캠페인 서경덕 공격한 中 누리꾼들
서경덕 “삐뚤어진 중화사상·문화 패권주의적 사상 반드시 바로 잡아야”
“설은 중국만의 명절 아닌, 아시아 국가들이 기념하는 명절”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설 영문 표기를 ‘음력설'(Lunar New Year)로 바꾸는 캠페인을 시작한다고 28일 밝혔다.
서 교수는 구글 캘린더와 유엔 등 여러 곳에서 ‘중국설'(Chinese New Year)로 표기하고 있다며 캠페인 배경을 설명했다.

설을 ‘Chinese New Year’로 표기한 구글 캘린더(왼쪽 밑줄 친 부분) 오른쪽은 유엔이 발행한 설 기념 우표. [서경덕 교수 제공]
서구권 주요 도시의 차이나타운에서는 매년 설을 맞아 행사를 진행하는데, 지역 언론들이 관련 뉴스를 내보내면서 ‘Chinese New Year’로 표기한다고 전했다.
서 교수는 “설이 중국만의 명절이 아닌, 한국, 베트남, 필리핀 등 아시아 국가들이 기념하는 명절이기에 ‘Lunar New Year’로 바꾸는 것이 옳다”고 강조했다.
특히 지난해 캐나다 총리가 설 당일 중계된 뉴스에서 “Happy Lunar new year. 감사합니다”라고 축하 인사를 한 사례도 있다. 공식 사이트에는 같은 방식으로 나라별 설 인사를 올려놓았다.
캠페인은 해외에 거주하는 재외동포와 유학생들이 ‘Chinese New Year’로 표기된 사례를 발견했을 때 사진과 함께 서 교수 인스타그램으로 제보를 하면 관련 기관 등에 서한을 보내 고치도록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중국 설’ 대신 ‘음력 설’ 캠페인 서경덕 공격한 中 누리꾼들
한편,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아시아권 최대 명절인 설을 앞두고 ‘중국 설'(Chinese New Year) 대신 ‘음력 설'(Lunar New Year)로 표기하자는 캠페인에 나섰다가 중국 누리꾼들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서 교수는 21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중국 누리꾼들이 SNS로 몰려와 댓글로, 특히 (인스타그램) 다이렉트 메시지(DM)로 무차별적인 공격을 퍼붓고 있다”며 일부 사례를 소개했다.

중국 누리꾼들이 서경덕 교수의 SNS 글에 남긴 댓글 [서경덕 교수 SNS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그는 이어 “중국 설도 훔쳐 가는 한국, 설은 중국인이 발명, 한국인 죽어라 등 어처구니없는 말만 내뱉고 있다”며 “한국의 좋은 문화는 다 중국에서 유래했고, 한국에서 먼저 훔쳐 갔다는 억지 주장만 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에서는 음력 설을 ‘춘제'(春節)로 부르고, 영어로 번역할 때 ‘Spring Festival’로 표현한다는 예를 들며 “춘제는 설날과는 유래부터 의미까지 아예 완전히 다른 명절”이라고 설명했다.
또 “상고시대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축제에서 비롯됐다는 ‘춘제’는 사실 왕조가 교체될 때마다 개최 날짜도 자주 바뀌었다”며 “약 2천 년 전인 한나라 때부터 음력 1월 1일로 고정된 것이라고 한다”고 전했다.
서 교수는 “중국인들의 삐뚤어진 중화사상과 문화 패권주의적 발상이 아시아권의 보편적인 문화를 중국만의 문화인 양 전 세계에 알리는 것은 반드시 바로 잡아야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c) 연합뉴스 협약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