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기업, ‘중국 침공’ 대비 동남아에 제2본사 설립 검토…”미 세금문제 걸림돌”

대만 TSMC 로고

대만의 몇몇 대기업이 중국의 대만침공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해외에 제2의 본사 설립을 계획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런 계획은 아직 검토단계이긴 하지만 제조업, 특히 기술 분야 기업들이 공급망 안전성 확보를 위해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회계컨설팅그룹 KPMG 대만본부의 패밀리오피스 비즈니스 책임자인 라우니에이 쿠오는 “우리 고객 중에 제2본사 설립을 검토 중이거나 계획 중인 기업이 있다”면서 “대만에서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해외에서 즉시 가동할 수 있는 지휘 체계를 갖추기 위해 동남아시아에서 후보지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대만의 제조업체들은 지난 수십년간 개인용 컴퓨터나 스마트폰, 서버, 통신 네트워킹 장비 등 전자기기와 부품의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또 산업 자동화와 의료기기, 전기 자동차 분야에도 진출하고 있다.

익명의 소식통들에 따르면 해외 제2본사 설립을 검토 중인 기업 중에는 소비자, 통신, 자동차, 의료용 전자 부품 및 장치 제조업체 라이트온과 퀴스다 등이 포함된다.

중국은 대만이 자국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하며 대만이 통일을 무기한 거부할 경우 합병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대만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중국의 침공 가능성은 작다고 보지만, 중국의 압박과 군사적 협박 전술이 강화되고 있어 외국 기업과 대만 기업 고객사들은 비상 계획을 검토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애플 고객사인 폭스콘과 페가트론의 경우 중국 내 비용 상승과 미·중 무역전쟁, ‘탈중국’에 대한 고객들의 요구로 인해 기존 생산설비가 집중돼 있던 중국 대신 동남아시아나 인도, 멕시코, 미국, 유럽 등으로 생산 거점을 확장하고 있다.

대만의 한 글로벌 컨설팅 회사 대표는 많은 기업이 생산 지역을 다변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비상 시스템 구축 등의 변화도 뒤따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고객사들에 최소한 본사의 일부 기능을 제2의 본사에도 복제해 갖춰둘 것을 권하고 있다면서 “비상사태로 인해 대만에서 6개월~1년간 일을 하지 못해도 괜찮을지 자문하도록 한다”고 말했다.

한 기업의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동남아시아 내 2개국에서 생산을 확장하고 있기 때문에 싱가포르에 제2의 본사를 두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다른 기업의 임원들도 싱가포르, 일본, 스위스, 네덜란드 등이 제2본사 설립 후보지라면서 미국의 경우 대만 기업들의 주요 시장이긴 하지만 세금 문제가 있어 제2본사 설립에 적합한 나라는 아니라고 전했다. (경제부)

<저작권자 ⓒ한인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 사전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