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 감소 6개월·무역 적자 13개월째…흐름은 점차 개선세

3월 한국 수출입 동향/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3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3월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13.6% 감소한 551억3천만달러, 수입액은 6.4% 줄어든 597억5천만달러로 집계됐다.

3월 수출액 작년 동기 대비 13.6% 감소…반도체 수출 34.5% 급감
수출 규모는 6개월만에 550억달러 회복…무역적자 46억달러로 감소
대중수출 -33.4%로 10개월 연속 마이너스…대중적자 6개월째 이어져

대한민국 경제를 지탱해온 수출이 6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수출보다 수입이 많은 무역적자 행진은 13개월째 이어졌다.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같은 내용의 3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3월 수출액은 551억3천만달러로, 작년 3월보다 13.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출액은 작년 10월부터 지난달까지 6개월 연속 감소했다. 수출이 월간 기준 6개월 연속 감소한 것은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2020년 3∼8월 이후 처음이다.

다만 지난해 3월 수출이 역대 최고 실적(638억달러))을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도 일부 영향을 끼쳤다.

또 수출 규모는 지난해 9월(572억달러) 이후 6개월 만에 550억달러대를 회복했다.

수출 감소는 글로벌 경기 둔화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우리나라 최대 주력 품목인 반도체 업황 악화의 영향이 크다.

[그래픽] 반도체 수출액 추이
[그래픽] 반도체 수출액 추이

3월 반도체 수출액(86억달러)은 제품 가격 급락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5% 급감했다.

IT 제품 등의 수요 위축에다 K반도체 주력인 메모리 제품 가격이 바닥을 치고 있기 때문이다.

반도체 수출은 작년 8월부터 8개월 연속 내리막을 걷고 있다.

반도체 외에도 디스플레이(-41.6%), 석유화학(-25.1%), 철강(-10.7%) 등 중간재 품목의 수출도 감소했다.

3월 수출 13.6%↓…무역적자 46억달러(CG)
3월 수출 13.6%↓…무역적자 46억달러(CG)

반면 자동차(+64.2%)와 이차전지(+1.0%) 등은 수출이 증가해 대비를 이뤘다. 지난달 자동차의 수출액은 65억2천만달러로 월 기준 역대 1위를 기록했고, 이차전지의 수출액은 8억7천만달러로 3월 기준 1위에 올랐다.

자동차 수출 급증의 영향을 크게 받은 중동(+21.6%)과 미국(+1.6%) 등에 대한 수출은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반도체 수출 비중이 높은 중국(-33.4%),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21.0%) 등에 대한 수출은 급감했다.

특히 반도체 수출 감소의 영향을 크게 받은 대중 수출이 직격탄을 맞으며 10개월 연속 마이너스 흐름이 계속됐다.

한때 한국의 무역수지 최대 흑자국이었던 중국과 지난해 한국의 최대 무역 흑자국에 오른 베트남이 세계 경제 둔화 등의 요인으로 수출과 수입이 모두 줄고 있다는 점 또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3월 수입은 597억5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638억1천만달러)보다 6.4% 줄었다.

전년 동기 대비 원유(-6.1%)와 가스(-25.0%) 등의 3대 에너지(원유·가스·석탄)의 수입액이 11.1% 감소한 145억달러를 기록한 데 따른 영향이 컸다.

에너지 외에도 반도체(-10.6%)와 철강제품(-12.4%) 등 원부자재의 수입액도 줄었다.

다만 이차전지와 관련한 수산화리튬(+368.1%)과 NCM(니켈·코발트·망간) 산화물리튬염(+69.4%) 등의 품목은 높은 증가세를 지속했다.

대중 무역 수지(CG)
대중 무역 수지(CG)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46억2천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해 작년 3월부터 13개월째 적자 행진을 이어갔다. 국가별로는 대중 무역 적자가 지난달 27억7천만달러를 나타내면서 6개월 연속 이어졌다.

무역적자가 13개월 이상 지속된 것은 1995년 1월부터 1997년 5월까지 연속으로 적자를 낸 이후 처음이다.

[그래픽] 대중국 무역수지 추이
[그래픽] 대중국 무역수지 추이

다만 무역 적자의 폭은 올해 1월(-127억달러)과 2월(-53억달러)에 이어 점차 개선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12월(167억달러)부터 지난달(145억달러)까지 에너지의 수입 규모가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산업부는 강력한 수출 드라이브와 함께 에너지 효율 개선, 절약문화 정착을 통해 수출 감소와 무역 적자 상황을 더욱 개선해나갈 방침이다. (c) 연합뉴스 협약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