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협상팀에 국가별 맞춤형 관세 협상 지시… 인도네시아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2025. 사진 미백악관

“상호관세는 협상이 진행되는 과정에도 계속 부과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무역 협상팀에 상호 관세 등과 관련해 국가별로 맞춤형 협상을 할 것을 지시했다고 백악관이 8일(현지시간)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화를 받고 대화할 의사가 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그는 “모든 개별 협상은 그 나라의 시장, 수출, 미국의 수입 등을 기반으로 맞춤형으로 독특한 것이 돼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70개 가까운 국가가 협상을 위해 미국을 접촉하고 있다고 재확인하면서 “이들 국가는 미국산 제품에 상당한 관세를 부과하고 터무니없는 비관세 장벽으로 미국 산업을 차단함으로써 부당하게 부유해졌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는 ‘최고의 제안을 갖고 오면 들을 것’이란 것이다”라면서 “미국 노동자에게 이익이 되고 미국의 심각한 무역 적자를 해결할 수 있을 때만 협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무역 협상에 다른 의제도 포함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맞춤형 접근 방식을 취할 것”이라면서 “만약 그것이 해외 원조, 미군의 이들 국가 주둔 및 그 비용 등을 의미한다면 그것은 협상의 일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것은 관세와 무역 협상이지만 그것은 모든 나라에 ‘원스톱 쇼핑’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상호관세 시간표를 묻는 말에는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이 미국 노동자와 제조업 등에 좋은 것이 되도록 매우 초점을 맞추고 있다”라면서 “이 협상은 모든 국가에 대한 심각한 적자도 해결해야 한다. 모든 옵션은 테이블 위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상호관세는 협상이 진행되는 과정에도 계속 부과될 것이며 미국은 수조 달러의 수입을 창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무역 협상시 한국과 일본 같은 동맹과 먼저 협상하기로 했다는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의 발언과 관련, “우리는 전 세계의 파트너와 동맹을 우선시할 것”이라고 재확인했다.

그러면서 “중국과 같은 국가는 보복 조치를 선택했으며 미국 노동자에 대한 잘못된 대우를 계속하려고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상호관세 부과 유예를 묻는 말에는 “대통령은 연기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으며 예외 조치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앞서 나가지 않겠다”면서 답변을 피했다.

한편 미 트럼프 대통령은 최혜국관세 혜택국가인 인도네시아에 기본관세 10%에 이어 32% 상호관세를 부과하며 9일부터 시행된다고 지난 2일 전격 발표했다.  (경제부)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