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7.7 강진에 아비규환… 美USGS “사망자 1만명 넘을 확률 71%” 우려

강진으로 무너진 미얀마 만달레이 그레이트월 호텔. 2025.3.28 [이정호 재미얀마 한인회보 편집장 제공]

28일(현지시간) 미얀마와 태국을 강타한 규모 7.7의 강진으로 곳곳에서 매몰자와 실종자가 속출하면서 구조 현장에서 사투가 벌어지고 있다.

미얀마에서 두번째로 큰 도시 만달레이의 주변 마을에 사는 자원봉사 구조대원은 무너진 건물 잔해에 갇힌 사람들을 구해내기 위해 기계가 필요하지만 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BBC에 전했다.

그는 “우리는 맨손으로 (잔해를) 파내면서 사람들을 끄집어내고 있다. 시신들을 수습하고 잔해 아래에 갇힌 사람들을 구해내려면 이걸로는 부족하다”며 “사람들이 ‘도와줘요, 도와줘요’하고 울부짖는다. 정말 희망이 없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만달레이에서 구조작업을 하는 한 대원은 “대부분의 건물들이 붕괴했다”며 “(사람들이) 거리에서 달리면서 비명을 지르고 울부짖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만달레이 종합병원이 거의 꽉 찬 상태이며 병원 건물 역시 손상됐다고 전했다.

그는 밤이 돼도 사람들이 집에 들어가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었고 잠을 이루지 못해 길바닥에 앉아 있는 이들도 있었다며 “눈 앞에서 가족, 친구, 친인척이 사라지는 것을 보고 사람들이 공포에 떨고 있다”고 말했다.

미얀마 수도 네피도 지역에서 구조작업에 참여중인 한 대원은 무너진 건물 잔해 아래 사람들이 갇혀서 도움을 요청하는데도 구조할 방법이 없었다고 말했다.

미얀마의 경우 외국으로부터 지원을 받더라도 쿠데타로 집권한 군사정권이 반군지역에는 고의로 이를 전달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국제앰네스티에서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담당하는 몬시 페러 부국장은 군사정권 하에서 수십년간 고통을 받아온 집단들이 있다며 “저항한 전력이 있는 집단이 활동하는 지역에 군부가 지원을 거부한 전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미얀마 중부를 덮친 규모 7.7의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만명을 넘어설 가능성이 70%가 넘는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미얀마 현지시각으로 29일 오전 0시 50분께 최종 업데이트한 보고서에서 이번 지진 사망자가 1만명 이상으로 불어날 가능성을 71%로 추산했다.

구체적으로는 10만명 이상일 확률이 36%, 1만명에서 10만명 사이일 확률이 35%였다.

USGS는 사망자가 1천∼1만명일 확률은 22%, 100∼1천명일 확률은 6%라고 평가했다.

경제적 손실과 관련해선 1천억 달러(약 147조원)가 넘을 확률이 33%, 100억∼1천억 달러(14조∼147조원)가 35%, 10억∼100억 달러(1조5천억∼14조원) 24%, 1억∼10억 달러(1천500억∼1조5천억원) 7%인 상황이라고 전했다.

USGS는 이번 지진은 “진동으로 인한 사망 및 경제적 손실에 대한 적색 경보”에 해당하는 수준이라며 “사상자가 많고 피해가 대규모일 수 있으며 광범위한 재난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또 “경제적 손실 추산치의 경우 미얀마의 국내총생산(GDP)를 넘어설 수도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는 수정메르칼리 진도등급(MMI) 기준 9등급(잘 설계된 건물에도 상당한 피해가 발생하며, 일반 건축물에는 붕괴 등 큰 피해가 발생)의 진동에 노출된 사람의 수가 370만9천명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산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앞서 미얀마 중부 내륙에서는 28일 낮 12시 50분께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

미얀마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이날 현재 지진으로 144명이 사망하고 732명이 부상했다고 밝혔다.

인접한 태국에서는 수도 방콕에서 건물 붕괴로 100여명이 매몰되면서 이날 밤 10시 현재 사망자가 최소 10명, 실종자가 수십명인 것으로 당국은 집계했다.

향후 수색과 구조가 본격화하면 사상자 수는 빠르게 증가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CNN 방송에 따르면 이번 지진은 1천㎞ 이상 떨어진 태국 방콕에서도 건설 중이던 30층 건물이 무너지는 등 사고를 유발, 최소 10명이 숨지고 100명 이상이 실종되는 피해를 발생시켰다. (사회부)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