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885만명 분석…”사망위험 최대 67%↑…저체중 지방간이 더 문제”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심할수록 사망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유수종 교수, 숭실대 한경도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9년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한 885만8천42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과 사망률 사이에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9월 20일 밝혔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술을 마시지 않는데도 정상보다 많은 양의 지방이 간에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주로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대사증후군에 동반되며, 환자의 30%는 간염, 간경화 및 섬유증 등으로 진행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체질량지수(BMI), 허리둘레, 혈중 중성지방 수치, 간 손상( r-GTP) 수치를 종합한 ‘지방간 지수'(FLI)에 따라 낮은 그룹(30 미만), 중간 그룹(30 이상∼60 미만), 높은 그룹(60 이상)으로 나눠 8년 동안의 그룹별 사망률을 분석했다.
이 결과 지방간 지수가 높은 그룹과 중간인 그룹은 낮은 그룹에 견줘 전체적인 사망 위험이 각각 67%, 19% 높은 것으로 추산됐다.
특히 지방간 지수에 비례한 사망 위험은 BMI가 낮을수록 예후가 더 나빴다. 즉 저체중 상태이면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심할수록 사망 위험이 높았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암종별로는 지방간 지수가 높아질수록 식도암, 위암, 대장암, 폐·간·담도암, 유방암, 전립선암으로 인한 사망률도 함께 증가하는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유수종 교수는 “이번 연구는 대규모 인구에 기반한 분석을 통해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과 사망의 연관성을 포괄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면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진단을 받았다면 비만 등의 대사이상증후군뿐 아니라 체중 감소를 유발하는 근감소증과 근감소성 비만에도 주의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대사 임상과 실험'(Metab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최신호에 발표됐다.
<(c) 연합뉴스-HanIn Post 협약 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