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한편으로 수도이전에 민간자본을 사용할 가능성은 그리 커 보이지 않는다.
Institute For Economic and Development Finance의 경제평론가 비마 유디스띠라(Bima Yudhistira)교수는 민간자본들은 수도이전 프로젝트에 구미가 당기지 않을 것인데, “왜냐하면 투자에 비해 거둬들일 수 있는 게 지극히 적기 때문이죠. 수도이전은 상업적인 기간산업 건설과는 그 성격이 전혀 다릅니다” 라고 설명했다.
더 나아가서 인도네시아의 수도이전은 말레이시아의 수도이전에 비해 훨씬 더 많은 비용이 들 것이다. 이미 갖춰져 있는 기간시설 자체가 지극히 미비하다는 것 외에도 대규모의 공무원 이동에 따른 건축, 건설 공사 또한 엄청날 것이기 때문이다.
말레이시아의 경우 지난 1999년에 쿠알라룸푸르에서 뿌뜨라자야로 수도를 이전할 때 81억달러, 약 107조 루피아의 자금이 소요되었다.
이 모든 사실에 근거해볼 때 정부는 정말 주도 면밀하게 수도이전을 위한 발걸음을 떼어야 함을 볼 수 있다. 서두르다가 오히려 국가 적자만 더 늘어나게 되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라는 의미이다.
간단한 질문을 던지자면, ‘우리는 우리의 새 수도가 국가부채를 기반으로 해서 건설되기를 바라는가’이다. 아마도 그러한 위험을 감수하고라도 수도이전을 환영할 사람들도 있겠고, 반대할 사람들도 있을 것인데, 조코위 대통령은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가? (207년 7월 5일자 콤파스 칼럼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