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의 한 소셜미디어 유명인이 미얀마 반군 단체에 자금을 지원한 혐의로 현지 군사정권에 의해 구금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인도네시아 정부의 신속한 외교적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 30일, 인도네시아 국회 제1위원회 소속 아브라함 스리자자 의원은 외교부와의 업무 회의에서 이 사실을 공개했다.
아브라함 의원에 따르면, 구금된 인도네시아 국민은 33세 남성으로, 온라인에서 활발히 활동해 온 콘텐츠 제작자다.
아브라함 의원은 “해당 국민은 정치적 의도나 무장 단체와의 연관성이 전혀 없는 단순한 콘텐츠 제작자”라며, “미얀마 내정에 개입할 의사가 없었으므로 혐의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외교부를 통해 사면이나 추방 등 모든 외교적 수단을 동원해 자국민의 신속한 송환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그는 구금된 국민에 대한 법적 지원과 보호를 위해 외교부의 유다 누그라하 재외국민보호국장과 긴밀히 협력해왔음을 밝혔다.
이어 “범죄나 정치적 의도 없이 해외에서 곤경에 처한 자국민을 보호하는 것은 국가의 중요한 책무”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수기오노 인도네시아 외교부 장관은 해당 사건에 대해 직접적인 언급은 피했으나,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수기오노 장관은 “해외로 출국하는 모든 국민은 방문국의 정치 및 안보 상황을 사전에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비상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보호 조치가 가능하도록 ‘Safe Travel’ 포털과 ‘Peduli WNI’ 플랫폼을 통한 신상 신고를 당부했다.
한편, 이 소식이 전해지자 소셜미디어상에서는 구금된 인물의 신원을 둘러싼 추측이 확산하고 있다. 일부 네티즌들은 과거 분쟁 지역을 방문하며 논란을 빚었던 디자이너이자 디지털 탐험가 ‘아르놀드 푸트라’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으나, 현재까지 정부의 공식적인 신원 확인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2021년 2월 군부 쿠데타 이후 극심한 내전을 겪고 있는 미얀마의 복잡한 정치 상황은 이번 사건 해결의 난관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미얀마는 지역별로 안보 상황이 다르고 통제 주체도 달라, 군사정권과의 협상만으로는 문제 해결이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제 사회의 우려 속에서 인도네시아 정부가 구금된 자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무사히 송환하기 위해 어떤 실질적 조치를 취할지 주목된다. (Rizal Akbar Fauzi 정치 경제기자)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