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앞두고 포퓰리즘…몰아치는 ‘셀 인도네시아’

'추락하는 루피아' 인도네시아 # 국제 원유가격 상승 반전하자 조코위 대통령“쌀 가격통제” 해외 투자자들엔 부정적 신호 돼 # 경상수지 만성 적자… 심지어 증가 2015년 이후 첫 이자율 인상까지“역대 최대 외환보유고”자랑 무색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인상과 강(强)달러가 영향을 미친 신흥시장(이머징 마켓) 가운데 아시아에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나라는 인도네시아다.
만성적 경상수지 적자와 기대 이하의 경제지표, 선거를 앞두고 심화한 대중주의 정책으로 해외투자자들이 ‘셀 인도네시아’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인도네시아 루피아화는 1월말부터 계속 가치가 하락했다. 지난달 8일에는 심리적 저지선인 달러당 1만4,000루피아선까지 무너졌다. 해외 투자자들은 4월 말까지 주식과 국채를 각각 27억달러와 11억달러어치 팔아 치웠다.

인도네시아 중앙은행(뱅크인도네시아ㆍBI)은 연초 역대 최대 외환보유고가 쌓였다고 자랑했으나 루피화 가치는 지속적으로 낮아졌다. 이후 70억달러 이상을 투입해 시장방어에 나섰지만 역부족이었다.
결국 중앙은행은 2015년 이래 처음으로 이자율 인상을 결단하면서 급한 불을 껐다. 지난달 17일과 30일, 두 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했다. 지난달 24일 중앙은행 새 총재 자리에 취임한 페리 와르지요 총재는 “환율 안정을 위해 선제적 정책을 시행하겠다”고 선언했다.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마저 논의되고 있다. 스리 물랴니 인드라와티 재무장관은 “성장보다는 단기적으로는 경제안정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외 전문가들도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의 움직임을 지지했다. 이창용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국장은 성명을 통해 “정책금리 인상은 국제 상황을 고려해 적절한 조치였다”고 평가했다.
영국 옥스퍼드이코노믹스의 아시아 전문분석가 나페즈 주크도 외신 인터뷰에서 “인도네시아가 선제 정책으로 준비 태세를 보인 것은 긍정적”이라고 평했다. 시장도 호응해 31일부터 환율은 다시 달러당 1만4,000루피아 아래로 내려갔다.

하지만 블룸버그통신은 위험 요소가 여전히 남아 있다고 평가했다. 인도네시아는 아시아 지역에서 인도와 함께 만성적 경상수지 적자를 내는 나라다.

그런데 꾸준히 감소하던 적자폭이 올들어 다시 늘어나고 있다. 또 인도네시아 국채의 38%를 해외 투자자가 보유, 순식간에 국채 투매 상황을 맞을 수 있다.

물론 문제의 뿌리는 기대에 못 미치는 경제지표가 있다. 2014년 집권한 조코 위도도 대통령은 경제성장률 7% 돌파를 약속했다. 재정적자 주범인 연료 보조금을 축소하고 해외자본으로 총 3,500억달러(380조원)에 이르는 기반시설 투자에 나섰다.

많은 인구와 영토를 경제성장률로 환산하기 위해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는 계산이었다. 2015년부터는 금리도 꾸준히 내리면서 폭발적인 경제 성장을 기대했다. 그러나 위도도 재임 기간 성장률은 5% 남짓에 머무르며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설상가상 국제 원유가격이 상승세로 돌아서자, 위도도 대통령도 올해 4월 들어서는 연료보조금 확대를 결정하고 석탄ㆍ쌀ㆍ설탕 등에 가격통제를 도입하는 대중주의 정책을 택했다.
<기사. 인현우 기자/한국일보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한인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 사전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