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에 한국내 김치 수입 사상 최대…’코로나 특수 끝’ 수출은 감소

 -지난해 물가 고공행진에 저렴한 중국 김치 수입액 20% 급증
-김치 수출은 7년 만에 감소…’김치 무역수지’도 1년만에 적자 전환

지난해 한국내 김치 수입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상승으로 비싼 한국산 김치 사용 부담이 커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김치 수출은 ‘코로나 특수’가 끝나 7년 만에 감소했다. 이로써 김치 무역수지는 1년 만에 다시 적자로 돌아섰다.

25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김치 수입액은 전년보다 20.4% 증가한 1억6천940만달러(2천92억원)로 사상 최대였다.

수입액 증가율은 2010년(53.8%) 이후 12년 만의 최고다.

김치 수입액은 2019년 1억3천만달러에서 2020년 1억5천만달러로 증가했다가 2021년 중국의 소위 ‘알몸 김치’ 동영상 파문으로 1억4천만달러로 줄었다. 수입 김치는 모두 중국 김치다.

"빨갛다고 중국 것이 아닙니다"…중국 김치왜곡 비판 캠페인
“빨갛다고 중국 것이 아닙니다”…중국 김치왜곡 비판 캠페인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가 김치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만든 디지털 포스터 모습. [반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그러나 지난해 다시 20% 넘게 증가하며 1억6천만달러 선을 처음 넘어섰다.

이는 지난해 김치 재료 가격이 올라 국산 김치 가격도 덩달아 인상돼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국 김치를 찾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상과 CJ제일제당의 경우 지난해 ‘종가’ 김치와 ‘비비고’ 김치 가격을 10%가량 인상했다.

지난해 수입 김치의 t당 가격은 643달러로 수출 김치(3천425달러)의 18.8% 수준이었다. 중국산 수입 김치가 수출 ‘K-김치’ 가격의 5분의 1도 안 됐다.

지난해 김치 수출액은 1억4천82만달러로 전년보다 11.9% 줄었다. 김치 수출액이 줄어든 것은 7년 만이다.

김치 수출액은 지난 2019년 1억499만달러에서 2020년 1억4천451만달러로 급증했고 2021년에는 1억5천992만달러로 더 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외국에서 한국 김치가 면역력을 높이는 건강식품이라는 인식이 확산한 데다 한류 확산 속에 ‘K-김치’ 인기도 더 올라갔다.

하지만 지난해 코로나 사태가 잠잠해지며 특수도 종료돼 김치 수출액도 감소세로 돌아섰다.

종가 수출용 김치
종가 수출용 김치 [대상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해 김치 수출액을 국가별로 보면 일본이 6천100만달러로 가장 많고 이어 미국(2천911만달러), 홍콩(727만달러), 네덜란드(643만달러), 호주(588만달러), 대만(549만달러), 영국(531만달러) 등 순이었다.

김치 수입이 늘고 수출이 줄면서 무역수지는 1년 만에 다시 적자를 보였다.

지난 2020년에는 코로나 특수로 김치 수출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하고 알몸 김치 파동으로 수입액은 줄어 1천917만달러 흑자를 보였다. 김치 무역수지가 흑자를 보인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2천305만달러) 이후 12년 만이었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김치 무역수지가 2천858만달러 적자로 2018년(-4천76만달러) 이후 4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적자를 냈다.

[표] 김치 수출입 추이 (단위: t, 천달러)

연도 수출중량 수입중량 수출금액 수입금액 무역수지
2007 26,469.50 218,909.60 75,309 110,166 -34,857
2008 26,897.50 222,369.50 85,295 112,715 -27,420
2009 28,505.30 148,124.50 89,386 66,335 23,051
2010 29,671.70 192,936.40 98,360 102,019 -3,659
2011 27,429.00 230,077.90 104,577 120,874 -16,297
2012 27,663.60 218,844.50 106,608 110,842 -4,234
2013 25,631.30 220,217.70 89,277 117,431 -28,154
2014 24,741.50 212,937.80 84,033 104,396 -20,363
2015 23,111.20 224,124.20 73,543 113,237 -39,694
2016 23,490.40 253,432.30 78,900 121,485 -42,585
2017 24,311.00 275,630.80 81,393 128,679 -47,286
2018 28,197.00 290,741.80 97,456 138,215 -40,759
2019 29,628.40 306,049.50 104,992 130,911 -25,919
2020 39,748.30 281,186.70 144,511 152,426 -7,915
2021 42,544.00 240,606.20 159,915 140,742 19,173
2022 41,120.70 263,434.60 140,823 169,400 -28,577

(자료=관세청)

(c) 연합뉴스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