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콘텐츠는 구독자 전용입니다.
■ 1분기 GDP 성장률 둔화, 정부 ‘총력 대응’ 시동
인도네시아 정부가3년만에 급락한 2025년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둔화에 대응해 국민 구매력 제고와 투자 환경 개선을 핵심으로 하는 2차 경기 부양책 마련에 착수했다.
6일(현지시간) 아일랑가 하르타르토 경제조정장관은 공식 성명을 통해 “1분기 GDP 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4.87%에 그침에 따라 2분기 이후 회복 모멘텀을 확보하고자 종합대책을 실행한다”고 밝혔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2년 이후 3년 만에 성장세가 최저치로 둔화된 결과로, 정부가 경기 진작을 위한 전방위 정책을 가동하는 배경이 됐다.
■ 국민 구매력 강화: 사회 지원금 확대·월급 인상
내수 진작을 위해 정부는 5~6월 중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희망가족 프로그램(Program Keluarga Harapan, PKH)’ 사회 지원금과 ‘기본생필품 카드’ 지급을 신속히 추진한다. 이와 함께 공무원(ASN) 대상 13차 월급 지급도 단행된다.
아일랑가 장관은 “이 조치들은 국민의 실질 구매력을 높이고 가계 소비로 이어져,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 소비·투자 동시 공략: 재정 인센티브·투자 환경 개선
정책은 수요와 공급 양면에서 동시에 추진된다. 정부는 부동산, 자동차, 노동집약적 부문 등 내수산업 분야에 재정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식품 가격 안정을 통한 인플레이션 완화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공급 측면에서는 투자 촉진과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구조적 개혁 방안이 병행된다. 대통령령(Inpres)에 기반한 규제 완화로 각종 행정·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고, ‘일자리 확대 태스크포스(Satgas)’를 신설해 신속 대응체계를 구축한다.
노동집약적 산업의 성장을 겨냥한 ‘투자 신용’ 제도와 ‘투자 사업 분야 대통령령(Perpres BUPM)’ 개정 등도 주요 과제로 추진된다.
아일랑가 장관은 “민간 투자 확대와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해 규제 혁신과 행정 효율성 제고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 재정 집행 가속 및 국영기업 중심 대출 확대
정부는 국영기업(BUMN)의 자본 지출(Capex)을 최적화하고, ‘국민 사업자 대출(KUR)’ 한도를 최대치로 확대하는 한편, 관련 예산의 신속한 집행을 통해 국가 재정지출의 승수효과(multiplier effect)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이러한 조치는 지출 속도가 경기 회복에 미치는 긍정적 파급효과를 고려한 전략적 선택으로 풀이된다.
■ 대외 정책: 미국·EU 협상, 글로벌 경제 네트워크 강화
경제 회복의 동력을 수출 시장에서도 모색한다. 대외적으로는 트럼프 2.0 정책에 대한 위험 완화책을 내놓고, 미국과의 관세 협상과 EU와의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EU-CEPA) 조기 타결을 통해 주요 수출시장의 확대를 꾀하고 있다.
아일랑가 장관은 “BRICS 포럼 참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절차 등 다각적 글로벌 교류가 인도네시아의 대외 신인도를 높이고, 중장기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 중장기 성장전략: 구조개혁·글로벌 협력으로 ‘리스크 해소’
정부는 경기부양책을 단기 ‘소비 진작’에만 국한하지 않고, OECD 가입 등 국제 협력과 구조개혁 등 중장기 성장 기반 구축도 병행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미국, 유럽 등 주요 교역상대국의 경기 둔화와 국제통화기금(IMF)의 2025년 세계 경제 성장률 2.8% 전망 등 불확실성 속에서, 선제적 대응과 종합적 리스크 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되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은 인도네시아에서도 구매관리자지수(PMI) 악화 등 경기 둔화 신호가 뚜렷한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시장 점검과 정책 탄력성이 향후 경제 성장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경기 둔화에 대응해 국민 구매력 강화, 투자 촉진, 규제 완화, 글로벌 경제 협력 등 전방위 대책을 펼치며, 경제 성장률 회복과 일자리 창출, 물가 안정 등 3대 목표 달성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각종 대외 변수라는 난관 속에서 실효성 있는 정책 기획과 집행력이 인도네시아 경제의 ‘분기점’이 될지 주목된다. (Tya Pramadania 법무전담기자)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