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산업은 미래 황금알 낳는 거위…’한국판 IRA’ 도입해야”

코엑스에서 열린 2024 인터배터리(INTER BATTERY) SK온 부스에 자사의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 모형이 전시돼 있다. 2024.3.6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배터리 업계를 위해 ‘한국판 IRA’로 불리는 세액공제 직접환급제 도입 등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 배터리 (PG)
한국 배터리 (PG) [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이상수 LG에너지솔루션 담당은 4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신영대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연구단체 이차전지포럼 대표) 주최로 열린 ‘이차전지 배터리 직접환급제 도입 토론회’에서 “배터리 산업은 중장기적으로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될 수 있다”며 “보다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 담당은 “현재 상황이 어려운 업종이 많지만 배터리 같은 국가전략기술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판단해야 한다. 세계에서 기술력으로 1위를 하는 업종은 흔치 않다”며 “나중에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될 수 있으니 미래 세수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직접환급제의 핵심 취지는 세액공제를 통해 기업의 현재 투자 금액을 늘리고 이를 바탕으로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것이라는 게 이 담당의 설명이다.

그는 “배터리 업체들은 현재 투자비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세액공제를 직접 환급받으면 국내에 재투자하는 방향으로 선순환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김승태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실장, 박재범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 등 산업계를 비롯해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 측 인사들도 자리했다.

발제에 나선 김승태 실장은 “현재 도입 단계에 있는 이차전지 시장 내 기업들은 아직 현금 흐름과 이익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어 현재의 세액지원 방식은 실효성이 낮다”며 “수출, 생산, 고용 등 파급 효과가 큰 주력 산업인 만큼 실효적 지원이 적시에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의선 현대차 그룹 회장은 조코위 대통령에게 HLI Green Power 배터리 셀 생산 제품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현대차 제공 2024.7.3

시설 투자뿐 아니라 미래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필수 투자인 연구개발(R&D) 투자도 세액 공제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미 미국이나 프랑스, 캐나다 등은 투자금에 대해 현금 환급이나 제3자 양도 등의 방식으로 지원해주고 있다. 프랑스는 1985년부터 R&D 지출에 대한 세제 혜택을 환급형 세액공제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최근 급성장하는 중국 배터리 업체들도 정부의 막대한 보조금과 혜택 등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

신영대 의원은 “현재 배터리 산업의 글로벌 주도권 경쟁은 단순한 기술력이 아니라 속도의 싸움”이라며 “법과 제도를 신속히 개선하지 않는다면 한국의 배터리 기업들은 점점 더 치열해지는 글로벌 시장에서 이중고를 겪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 의원은 이어 “이차전지 산업이 국가 전략산업으로서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도록 정부의 정책 추진을 뒷받침하고, 국회 차원의 입법도 속도를 올리겠다”고 덧붙였다. (경제부 연합뉴스 협약)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