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설날에 떡국은 우리나라만 먹나?

떡국

조선 중기부터 ‘떡국’ 기록…’나이 먹는 음식’ 의미
가래떡 떡국은 한국만 전통…중일도 유사 음식 먹어

‘떡국을 먹어야 한 살을 먹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떡국은 설날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한국인의 대표적인 명절 음식이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뽀얀 고깃국물에 하얀 가래떡을 넣고 고명을 올린 떡국 한 그릇은 한 해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단순한 음식을 넘어선 특별한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

그렇다면 새해에 떡국을 먹는 문화는 우리나라만의 전통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가래떡을 썰어서 떡국으로 만들어 먹는 문화는 사실상 우리나라가 유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일본과 중국도 새해에 떡과 비슷한 재료를 이용해 국을 만들어 먹기는 하지만 한국인들이 먹는 떡국과는 차이가 있다.

◇ 조선 중기부터 ‘떡국’ 기록…’나이 먹는 음식’ 의미

흔히 떡국은 멥쌀가루로 길게 만든 흰 가래떡을 얇게 썰어 맑은 장국에 끓인 음식을 말한다.

떡국의 유래와 기원에 대해서는 전승된 기록이 충분하지 않아 정확한 알기 어렵지만, 조선 후기 세시풍속을 담은 ‘동국세시기’, ‘열양세시기’, ‘경도잡지’ 등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이 책들은 떡국이 새해 차례와 아침 식사에 없으면 안 될 음식이며, 손님 접대용으로 꼭 내놓았다고 전하고 있다. 당시 떡국은 겉모양이 희어 ‘백탕'(白湯), 떡을 넣고 끓였다고 해 ‘병탕'(餠湯) 등으로 불렸다고 한다.

조선 중기 이식의 ‘택당집’에도 새해 첫날의 제사상을 차릴 때 병탕과 만두탕을 한 그릇 올린다는 기록이 있다. 이보다 앞서 떡국에 대한 기록은 찾기 쉽지 않아 조선 초·중기부터 먹었다는 시각이 있다. 중국의 ‘탕병'(湯餠)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가래떡 나와요' 설 앞두고 분주한 방앗간
‘가래떡 나와요’ 설 앞두고 분주한 방앗간

  • (서울=연합뉴스) 설 명절을 앞둔 19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의 한 방앗간에서 상인들이 가래떡을 뽑고 있다. 2023.1.19 

구한말 육당 최남선은 ‘조선상식문잡’에서 ‘신년은 천지만물의 부활과 신생을 의미하기 때문에 정갈하고 깨끗한 흰 떡과 그 떡으로 만든 국을 먹는다’며 떡국을 상고시대부터 먹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민가에서는 떡국을 먹어야만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고 해 아이들에게 ‘병탕 몇 그릇 먹었느냐’며 나이를 묻곤 했다. 조선 후기 실학자 이덕무는 ‘나이를 먹게 하는 떡’이라는 의미로 떡국을 ‘첨세병'(添歲餠)이라고 불렀다. 오늘날 ‘떡국을 먹어야 한 살 먹는다’는 이야기는 생각보다 오래된 것이다.

◇ 지역별로 ‘떡국’ 재료 달라…꿩고기도 사용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등에 따르면 과거 떡국 국물을 우리는 주재료로는 꿩고기가 으뜸이었다. 하지만 일반인들은 꿩고기를 구하기 어려워 닭고기로 국물을 내기도 했고, 여기서 ‘꿩 대신 닭’이라는 속담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오늘날은 쇠고기로 만드는 게 일반적이다.

지난해 농촌진흥청이 밝힌 떡국 육수별 특징을 보면 멸치, 닭고기, 한우, 사골 중 감칠맛·진한 맛·구수한 맛은 한우가 가장 강하다. 사골로 끓인 국물은 가장 담백하고, 닭고기 국물은 색과 향은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진하고 구수한 맛에서 한우에 그다지 뒤지지 않는다.

떡국 육수의 특징 및 성분
떡국 육수의 특징 및 성분 [농촌진흥청 제공]

떡국의 재료도 저마다의 의미가 있다. 하얗고 긴 가래떡은 장수를 기원하며 밝게 보내자는 뜻이 담겼다. 가래떡을 잘게 자르면 동전 모양과 비슷해 물질적인 풍요를 기원한다는 의미도 있다고 한다.

희고 뽀얀 떡과 국물은 음양에서 양을 상징해 춥고 어두워 음기가 강한 겨울에 양기를 보충한다고 해석된다.

떡국은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지역별로 다양하다.

경기도·강원도는 떡만둣국을, 충청도는 말리지 않은 떡을 이용해 생 떡국이나 미역 생 떡국을, 전라도는 닭으로 담근 장을 풀어 끓인 떡국을 즐겨 먹었다. 경상도는 구운 떡을 사용하거나 굴 떡국을 먹었다고 전해진다. 제주도는 떡국보다 메밀로 칼국수를 만들어 손님에게 대접하는 풍습이 있었다고 한다.

북한 떡국
북한 떡국

  • 민속명절 설날의 대표적인 음식 떡국.//북한 2004.1.23(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저작권자 ⓒ 2004 연 합 뉴 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북한은 황해도 개성의 조랭이떡국이 대표적이다. 평안도·함경도는 떡국보다 ‘복을 싸서 먹는다’는 의미로 만둣국을 먹었다. 북쪽으로 갈수록 떡국에 만두를 함께 넣어 먹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벼농사를 짓기 어려운 산간 지역에서 떡이 귀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있다.

◇ 일본·중국도 새해 ‘떡국’과 유사 음식 먹어

우리나라와 같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떡국과 유사한 새해 음식을 찾아볼 수 있다.

일본은 새해에 가다랑어포를 우려낸 육수나 미소를 넣은 국에 일본식 떡인 모찌와 각종 재료를 넣은 ‘오조니'(お雜煮)를 먹는 전통이 있다. 국물이 맑고 떡의 식감은 인절미와 비슷해 떡국과는 차이가 있지만, 장수를 기원한다는 의미는 같다.

일본식 떡국 '조니'(雜煮)
일본식 떡국 ‘조니'(雜煮) [위키피디아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중국은 음력설인 춘절에 북쪽과 남쪽이 즐겨 먹는 음식이 다르다. 북쪽은 만두를 주로 먹고, 남쪽은 쌀로 만든 경단 안에 팥이나 검은깨 등의 소를 넣어 삶은 탕위안을 먹는다. 이 탕위안이 떡국과 비슷한 측면이 있다. 한해의 풍요를 기원하는 생선요리도 춘절 식탁에서 빠지지 않는 메뉴다.

미국은 콩, 양파, 베이컨, 채소, 쌀 등을 넣고 소금이나 향신료와 함께 볶아 밥과 먹는 ‘호핑 존’이 대표적인 신년 음식이다. 콩은 동전을, 채소는 지폐를 의미해 새해를 기원해 부를 기원하는 의미가 담겼다. 본래 남부지역 흑인 노예들이 먹던 음식이었으나 남북전쟁 때 미국 전역으로 퍼졌다.

미국의 새해 음식 호핑 존
미국의 새해 음식 호핑 존 [유튜브 채널 ‘Tasting History with Max Miller’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영국은 크리스마스부터 연초까지 12일간 ‘민스파이’를 매일 한 개씩 먹으면 새해에 행운이 온다고 믿는 전통이 있다. 스페인은 한국의 보신각 종이 울리듯 각 도시의 광장에서 울리는 12번의 종소리에 맞춰 ‘우바스 데 수에르'(행운의 포도)라고 불리는 포도 12알을 먹는 풍습이 있다.

프랑스의 ‘갈레트 데 루아’, 그리스의 ‘바실로피타’, 멕시코 ‘로스카 데 레예스’ 등은 연초에 행운을 기념하며 먹는 각국의 케이크다. (생활부.연합뉴스 협약)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