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연구에 따르면, 수학적 놀이가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학적 능력이 다른 A, B, C 아동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문제 해결과 관련된 수학적 놀이가 수업 중 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 가를 중심으로 관찰지에 기록하였다.
그 결과 수학적 놀이를 통한 수학 학습은 아동들의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아동들은 수학적 게임을 통해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갖게 되었으며, 수학적 능력이 ‘상’인 학생들에게는 자신감을, ‘중, 하’인 학생들에게는 수학에 대한 흥미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칼럼에서는 가족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수학 놀이 한 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고누는 ‘겨루다, 다투다’라는 의미의 순 우리말이다. 그 중 호박고누는 호박 모양의 게임판 위에서 3개의 바둑돌로 상대방을 못 움직이게 둘러싸면 승리하는 게임이다. 김홍도의 ‘고누놀이’라는 그림에서도 볼 수 있듯, 우리 조상들은 예로부터 고누 놀이를 즐겨했다.
호박고누를 통해 문제해결 전략을 탐색하고 나만의 승리 전략을 세울 수 있다. 나아가 변형게임 고누판을 직접 제작해보는 과정에서 창의성이 요구된다. 변형게임 고누판은 호박고누의 방식과 마찬가지로 게임을 진행하되 게임이 끝이 나는 상황이 나와야 한다. 내가 제작한 고누 게임이 끝이 나기 위해서는 나의 말 혹은 상대방의 말이 모두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을 머릿속에 그려가며 게임 상황을 유추해보는 노력이 수반된다.
사실 호박고누판을 들여다보면, 이산수학의 그래프 이론을 연상할 수 있다. 선과 선이 만나는 교차점의 차수를 헤아려보면서 동형인 그래프를 제작하면 된다. 하지만, 이러한 수학적 내용을 배우지 않았더라도, 충분히 생각해보고 게임을 실행해본다면 변형게임을 스스로 제작할 수 있다. 그것이 바로 과제집착력이며 창의성을 신장하는 노력이 되는 것이다.
필자의 학급에서는 쉬는 시간마다 다양한 수학 놀이에 적극 참여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학기 초에는 담임이 제시한 게임에 참여하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아이들이 직접 제작한 게임을 함께 하고 있다. 놀이를 통한 학급 분위기를 수학적인 환경으로 자연스럽게 조성해주는 노력이 아이들에게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