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유연근무제 활용해보니…시차출퇴근·선택근무 ‘더 생산적'”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근로시간 제도 개편안의 핵심은 '주 52시간제 유연화'다. 일이 많을 때는 집중적으로 일하되, 그렇지 않을 때는 충분히 쉬도록 해 궁극적으로는 근로시간을 줄이자는 것이다. 현행 '주 52시간제'는 주 단위를 기본으로 해, 기본 근로시간 40시간에 최대 연장 근로시간이 12시간까지 허용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노동부가 이번에 마련한 방안에 따르면 한주에 최대 69시간 또는 64시간 일하는 게 가능해진다.

한국노동연구원 보고서…일반 근무형태 대비 생산성 긍정 평가

한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시차출퇴근이나 선택근무제 등과 같은 유연근무제를 활용해본 직장인들의 다수는 일반적인 근무형태 때보다 생산성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28일 한국노동연구원의 ‘2022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보고서에 따르면 유연근무제를 활용해본 임금 근로자를 대상으로 각 제도에 대한 생각을 묻자 시차출퇴근제, 선택근무제, 원격근무제, 재택근무제 순으로 생산성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이 많았다.

이번 보고서는 제25차 한국노동패널의 코로나19 부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전체 조사 대상 1만여 명 중 각 제도를 사용한 적이 있는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했다.

시차출퇴근제는 근로자의 필요에 따라 출퇴근 시간을 조절해 유연한 시간 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제도이며, 선택근무제는 1개월의 주 평균 근로시간이 40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1주 또는 1일 근무시간을 조정하는 제도다.

원격근무제는 원격근무용 사무실이나 혹은 사무실이 아닌 장소에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근무하는 제도를 가리킨다.

"유연근무제 활용해보니…시차출퇴근·선택근무 '더 생산적'" - 2

조사 결과 시차출퇴근 경험자의 53.1%는 이 제도가 일반 근무 형태보다 ‘더 생산적’이라고 답했다. ‘차이가 없다’는 응답은 40.8%였고, ‘생산적이지 않다’는 응답은 6.1%였다.

선택근무제에 대해선 41.8%가, 원격근무제는 34.7%가 일반 형태보다 더 생산적이라고 답했고, 차이가 없다는 응답은 각각 37.2%, 45.7%였다. 생산적이지 않다는 의견은 20%가량이었다.

재택근무제의 경우 생산성에 차이가 없다는 응답이 45.2%였고, 4가지 제도 중 유일하게 일반 근무 대비 생산적이지 않다(29.1%)는 의견이 더 생산적(25.7%)이라는 의견보다 많았다.

유연근로제는 근로자들의 일·생활 균형을 향상시키는 제도로 알려져 있는데, 생산성에 있어서도 대체로 일반 근무형태보다 떨어지지 않는다고 근로자들은 스스로 평가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긍정적인 평가에 비해 활용 기회는 아직 매우 적다.

이번 조사에서도 다니는 직장에서 코로나19로 최근 1년간 유연근무제를 도입했다는 응답(3.2%)과 원래 유연근무제가 있었다는 응답(5.6%)을 합쳐 8.8%만이 유연근로제가 있는 회사에 다니고 있었다.

보고서는 유연근무제에 대한 근로자들의 평가가 담긴 이번 조사 결과가 “포스트 코로나19 시기에 보다 생산적이면서 일·생활 균형에 도움이 되는 근로제도 마련 시에 기초자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부)

<저작권자 ⓒ한인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 사전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