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꿀벌 78억마리 왜 사라졌나…기온급변에 이상고온까지

꿀벌들이 꿀을 모으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겨울 꿀벌 집단실종·폐사 원인 가운데 하나가 가을 극심한 기온변화라는 분석이 나왔다.

기후변화로 날씨 변동성이 커지는 만큼 이런 일이 언제든 반복될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최근 한국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겨울 꿀벌 피해는 극복된 것으로 파악된다”라면서도 “올겨울에도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농촌진흥청, 전문가, 업계의 공통된 의견”이라고 우려했다.

20일 한국양봉학회 학술지 최신호에 실린 ‘꿀벌의 월동 폐사와 실종에 대한 기온 변동성 영향’ 논문을 보면 지난겨울 발생한 꿀벌 집단폐사와 대량실종에 영향을 준 기상현상은 ’10월 급격한 기온 변화’, ’11~12월 이상고온 현상’, ‘올해 1~2월 이상고온과 한파’로 분석된다.

지난겨울 월동 중인 꿀벌들이 대거 사라지고 폐사하는 일이 벌어졌다.

농식품부가 지난 4월 발표한 지난겨울 폐사한 꿀벌은 39만 봉군(蜂群·벌떼) 78억마리이다. 이는 국내에서 사육되는 꿀벌의 약 16%에 달한다.

꿀벌은 꽃에서 꿀을 채집하며 꽃가루를 옮겨 수분이 이뤄지도록 돕는다.

이 때문에 꿀벌이 실종되면 농업도 타격받고 심하면 식량난이 벌어질 수 있다.

논문은 피해가 가장 크게 발생한 지역 중 하나인 전남 영암군의 날씨를 분석해 꿀벌이 폐사한 원인을 추적했다.

논문이 우선 주목한 것은 작년 10월 월초에 이상고온 현상이 이어지다가 16일 낮과 17일 아침 사이 기온이 급하강해 이상저온 현상이 이어진 일이다.

지난해 10월 10일은 일평균기온과 일최고기온이 대부분 지역에서 13.5도 이상이었고 일최고기온은 22.5~27.0도 이상이었다. 일최고기온이 31.5~36.0도에 달한 지역도 있었다.

이로부터 불과 일주일 뒤인 17일에는 일최저기온이 높아야 4.5~9.0도였고 일최고기온은 13.5~18.0도가 최고치였다.

기상청에 따르면 작년 10월 전국 일평균기온 최고치와 최저치 차이는 16.2도였고 일평균기온 간 표준편차는 5.1도로 기상관측망이 전국에 확충된 1973년 이후 가장 컸다.

10월 초 이상고온 현상은 필리핀해 쪽에서 대류가 활발히 이뤄지면서 아열대고기압이 이례적으로 평년보다 북서쪽에서 발달해 우리나라에 따뜻한 남풍이 유입됐기 때문이고 이후 이상저온 현상은 필리핀해 대류가 약화하고 동시에 시베리아와 베링해 쪽에 기압능이 발달해 차가운 북서풍이 유도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논문은 영암군도 작년 10월 15일 일평균기온이 20도 정도였다가 17일에 8도로 12도나 떨어지는 일이 발생했다면서 “극적인 기온 변화가 꿀벌 생태와 생리에 큰 타격을 줬을 가능성이 크다”라고 지적했다.

꿀벌은 겨울에 봉군 내에 뭉쳐서 날개로 열을 내 겨울을 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벌이 추분께부터 약 한 달 동안 태어나는 ‘겨울벌’이다.

그런데 10월 낮 기온이 12도 이하로 떨어지면 겨울벌이 태어나는데 차질이 빚어진다. 기온이 12도 이하면 꿀벌이 먹이활동을 못 하는 데다가 여왕벌을 중심으로 뭉쳐 보온활동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보온을 위해 다른 벌에 에워싸진 여왕벌은 산란에 차질을 빚는다.

논문은 작년 11월부터 12월 초까지 영암군 평균기온이 12도 이상인 날이 사흘 이상 이어지는 현상이 발생한 점에도 주목했다.

논문은 “낮 기온이 사흘 이상 12도 이상이면 봉군에서 산란이 시작돼 겨울벌 수명이 단축된다”라면서 “겨울벌은 여름벌과 달리 수명이 150일 정도로 길며 육아를 하지 않는데 고온 현상으로 육아를 시작하면 체내 호르몬 구성과 생리가 달라져 수명이 40여일로 줄어든다”라고 밝혔다.

올해 1월과 2월에 발생한 이상고온과 한파는 꿀벌이 봉군을 떠났다가 지쳐 돌아오지 못하게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논문은 설명했다. 다만 앞서 두 기상현상에 견줘서는 꿀벌 집단실종·폐사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었을 것으로 봤다.

논문은 “꿀벌 생리는 온도에 민감하고 (꿀벌의) 활동은 기온변화에 크게 좌우된다”라면서 “그런데 기상 변동성을 키우는 온난화가 진행 중”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꿀벌의 생태에 맞춘 기상 관측과 예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를 수행한 이승재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국가농림기상센터 이승재 연구개발부장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지난겨울 기상 상황은 꿀벌 생태에 아주 불리했다”라면서 “앞으로 심층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c) 연합뉴스 협약>

<저작권자 ⓒ한인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 사전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