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잠룡들, 탄핵심판 선고일까지 사실상 ‘경선 전초전’… 경,대선후보 실력화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9차 변론이 열리고 있다. 2025.2.18

3월 중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까지 與잠룡들은 탄핵에 대한 찬반 여론을 이용해 경선-대선 후보자로 실력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야과 여권의 노선 투쟁을 격화하면서 국민의힘 ‘잠룡’들 사이에서 본격적으로 경선 후보자로 여론을 쟁점화할 전망이다.

윤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변론이 오는 25일 종결되고, 탄핵소추의 핵심적 역할을 했던 한동훈 전 대표가 이튿날 정치 재개에 나서면서다.

한동훈 "당 대표직 사퇴합니다"
  • 한동훈 “당 대표직 사퇴합니다” (서울=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1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당 대표직 사퇴 입장을 밝히고 있다. 2024.12.16

책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 그는 비상계엄 해제와 탄핵소추의 배경이 사적인 이해관계보다 국민을 우선시한 행보였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23일 알려졌다. 2023년 말 당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하면서 천명했던 ‘선민후사(先民後私)’와 맞닿는다.

한 전 대표의 정치 재개 시점은 다음 달 중순으로 예상되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와 무관치 않다. 헌재가 윤 대통령 파면을 결정하고, 곧바로 조기대선 국면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 셈이다.

이를 계기로 그동안 야권에 견줘 조기대선에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하던 여권의 잠재적 대선주자들도 발걸음이 바빠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까지 걸릴 2∼3주 동안 탄핵에 대한 입장, 당의 노선을 둘러싸고 주자들의 입장이 엇갈릴 가능성이 크다.

잠재적 후보군이 10명을 넘는다는 점도 여권의 복잡한 조기 대선 구도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단면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여권에서 언급되는 잠룡은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한동훈 전 대표, 안철수 의원, 유승민 전 의원이다.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과 나경원·윤상현 의원도 대권 도전을 타진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다 김태흠 충남지사, 이철우 경북지사, 박형준 부산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이장우 대전시장 등 당 소속 시도지사들도 대권 행보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2030 자문단 간담회
2030 자문단 간담회

  • (서울=연합뉴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21일 서울 중구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열린 2030 자문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2.21 [고용노동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격려사하는 오세훈 시장
격려사하는 오세훈 시장

  • (서울=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14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제6기 서울시 디지털 안내사 발대식’에서 격려사를 하고 있다. 2025.2.14 
질문에 답변하는 홍준표 시장
질문에 답변하는 홍준표 시장

  • (대구=연합뉴스) 홍준표 대구시장이 26일 오후 대구 북구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열린 송년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4.12.26 

탄핵 심판이 마무리되면서 선고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이들이 대선 경선의 ‘전초전’을 벌일 수 있다.

탄핵 반대파는 당원과 강성 지지층의 ‘탄핵 반대’ 여론을 지렛대 삼아 지지를 호소하고, 탄핵 찬성파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탄핵 찬성 응답이 60%를 넘는 점 등을 들어 본선 경쟁력을 고려한 ‘전략적 선택’을 설득할 가능성이 있다.

당 관계자는 “탄핵 인용 시 경선 기간은 20일 정도로 짧기 때문에, 주자들은 그 전부터 분주히 움직여야 할 것”이라며 “탄핵 선고 전까지 주자들이 보이는 정치적 행보와 메시지가 결국 경선 결과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정치부/ 연합뉴스 협약)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