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식월 5.27일부터… 르바란 식품가격 인상

전통시장 상인협회, 국민들이 미리 많은 식품구입이 원인 통상부 설탕 식용유 쇠고기 상한가 정책은 운영되지 못해

“ 전통시장 상인협회 식료품 가격 인상요인 조사에 따르면 첫째는 생산과 수요가 서로 맞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둘째는 좋지 않은 기후가 수확과 유통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셋째는 쌀 사재기를 하는 특정인이 있을 수 있다. ”
“ 통상부의 소매 최고가 정책 (Harga Eceran Tertinggi -HET)도 아직 제대로 가동되고 있지 않은 게 현실이다. 소매 최고가 정책은 인도네시아 국민들에게 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세가지 즉, 설탕, 식용유, 냉동 고기류에 한해서는 정부에서 정한 최고 가격 이상으로 소매 가격을 인상할 수 없게 하는 정책이다. 상한고시가격 설탕은 킬로당 최고가가 RP12.500, 식용유는 킬로당 Rp11.000, 그리고 냉동 소고기는 Rp80.000 이다. 그러나 통상부의 HET 정책은 제대로 운영되지 않고 있다. ”

무함마디야 (Muhammadiyah)에 의하면 올해 뿌아사 금식은 5월 27일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정부와 NU는 아직 금식월 시작일을 확정하지 않았는데, 왜냐하면 금식 시작일은 이슬람성직자 회의 (sidang isbat) 를 통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생활 필수품의 가격은 금식월이 시작되기도 전에 이미 오르기 시작하고 있다. 쌀 가격을 보면 중간 정도 품질의 쌀이 전에는 킬로당 Rp 10.400하던 것이 킬로당 Rp 10.600 – Rp 10.700 선으로 올랐다. 마늘의 경우 킬로당 Rp 45.000 하던 것이 Rp 57.000로 큰 폭으로 올랐으며, 계란 값도 킬로당 Rp 18.000에서 Rp 21.000으로 올랐다. 닭고기 값도 킬로당 Rp 31.000하던 것이 Rp 33.000 선으로 오른 것을 볼 수 있다.
전통시장 상인협회 (Ikatan Pedagang Pasar Tradisional Indonesia (IKAPPI)) 회장 압둘라 만수리 (Abdullah Mansuri) 에 의하면 “시민들이 서둘러 대량으로 식료품을 구입하기 때문에 가격 인상을 불러온다”며, “정부, 특히 농업부가 식량생산품이 시장에 들어올 수 있도록, 그래서 가격들이 경쟁력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동안에는 농업부가 적극적으로 그런 역할을 했다고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농업부가 인도네시아 농산품 판매점(Toko Tani Indonesia -TTI)을 결성하여 오히려 소비자가 다가갈 수 없게 만들었는데, 소비자들은 식료품을 사기 위해 시장으로 가지 TTI로 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TTI가 사방에서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고 있지만 식료품 가격은 내리지 않는 것이다.
한편, 전통시장 상인협회 (IKAPPI)는 자체적으로 식료품 가격이 오르는 요인을 조사하고 있는데, 이 조사에 따르면 가격 인상을 초래하는 세가지 요인이 있다.

첫째는 생산과 수요가 서로 맞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둘째는 좋지 않은 기후가 수확과 유통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셋째는 쌀 사재기를 하는 특정인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이 세가지 요인 중 어느 것이 특별히 가격 인상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강력한 암시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협회는 정부 통상부와 농업부가 서로 협력하여 각 지역에 식품 비축량을 잘 분배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식료품 가격 안정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시급히 필요한 시점인데 왜냐하면 금식을 앞두고 식료품 가격이 계속해서 오를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통상부의 소매 최고가 정책 (Harga Eceran Tertinggi -HET) 도 아직 제대로 가동되고 있지 않은 게 현실이다. 소매 최고가 정책은 인도네시아 국민들에게 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세가지 즉, 설탕, 식용유, 냉동 고기류에 한해서는 정부에서 정한 최고 가격 이상으로 소매 가격을 인상할 수 없게 하는 정책이다.
이 정책에 의하면 설탕은 킬로당 최고가가 RP12.500, 식용유는 킬로당 Rp11.000, 그리고 냉동 물소고기는 Rp80.000 이다. 그러나 통상부의 이 정책은 현재 거의 제대로 운영되지 않고 있다고 봐야 할 것 같다. <기사종합. 사회부>

<저작권자 ⓒ한인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 사전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