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KS 10 / 김온유
세계가 기후 변화와 자원 고갈 문제를 마주하면서, 석탄과 석유 같은 기존의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한 국가로, 활발한 석탄 및 석유 산업과 함께 바이오연료 산업도 성장하고 있다.
석탄과 석유는 전 세계 에너지 공급의 핵심 자원이다. 석탄은 주로 화력 발전에 사용되며, 연소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를 생산한다.
석탄은 생산 비용이 적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 대규모 에너지 공급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연소할 때 대량의 이산화탄소(CO2)와 미세먼지를 배출해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
석유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자동차 연료, 화학 원료 등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자원이 고갈될 위험이 있으며, 추출 및 정제 과정에서 환경 오염 문제가 발생한다.
석탄과 석유 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바이오연료는 식물, 동물성 폐기물, 미생물 등 생물 자원을 원료로 제조된다. 바이오연료의 대표적 예시로는 바이오에탄올과 바이오디젤이 있다.
바이오연료는 석탄과 다르게 연소 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의 탄소 순환 과정에 기여해 환경친화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이오연료가 석탄과 석유를 대체할 경우 기존 석유 기반 인프라를 변형 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발생하는 비용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바이오연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농지와 물 자원이 과도하게 소모될 위험이 있으며 석탄과 석유에 비해 초기 생산비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1위의 석탄 수출국이며, 주요 석유 생산국 중 하나이다. 석탄과 석유 산업이 인도네시아의 경제와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인도네시아는 석탄과 석유의 단점을 보완하고 경제와 환경의 지속 가능성을 추구해야 한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 팜유 생산국으로, 이를 활용한 바이오디젤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정부는 디젤 연료의 30%를 바이오디젤로 대체하는 B30 정책을 시행해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추진 중이다.
이러한 바이오디젤 산업이 석탄 및 석유 산업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지만, 팜유 플랜테이션 확대로 인한 산림 파괴와 같은 새로운 환경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도 찾아야 한다.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