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정부는 ’20.1월 니켈 원광 수출을 전격 금지하였다. 이는 니켈 채굴부터 가공을 아우르는 일련의 공정을 인도네시아 내부에서 이뤄지게 하려는 전략적 계획의 일환이었다. 이후 4년을 거쳐 보크사이트 원광 수출 금지도 시행됐으며, 구리·철·납·아연 정광에 대하여는 ’24.12월까지 제한적 수출이 허가되었다. 이와 같은 정책은 자국 광물 가공 산업을 발전시키고,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현재까지 진행된 인도네시아 니켈 수출 금지 현황과 시사점을 살펴보자. |
o 인도네시아 니켈 매장 및 생산 현황
– 인도네시아는 니켈·주석·코발트·구리·보크사이트 등 필수 산업의 원료로 쓰이는 광물이 풍부하게 매장된 국가다. 특히, 美 지질조사국(USGS)의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니켈 매장량은 약 5,500만 톤으로 세계 1위이며, 全 세계 매장량의 약 42%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원 부존량은 인도네시아가 글로벌 광물 공급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끔 하는 요소이다.
[표 1] 국가별 니켈 매장량 및 점유율
순위 | 국가 | 매장량(천 톤) | 점유율(%) |
1 | 인도네시아 | 55,000 | 42% |
2 | 호주 | 24,000 | 18% |
3 | 브라질 | 16,000 | 12% |
4 | 러시아 | 8,300 | 6% |
5 | 칼레도니아 | 7,100 | 5% |
6 | 필리핀 | 4,800 | 4% |
7 | 중국 | 4,200 | 3% |
총계 | 130,000 | – |
[자료원]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24
– 인도네시아는 풍부한 광물 자원을 바탕으로 광물 생산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23년 인도네시아의 니켈 생산량은 약 180만 톤으로 추정되며, 이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생산량이다. 인도네시아 內 니켈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전기차 보급이 늘어남에 따라 앞으로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증가 추세는 전기차 배터리 등 니켈 연관 산업의 성장과 맞물려 있다.
[표 2] 인도네시아 연간 니켈 생산량 추이 (단위:천 톤)
’19년 | ’20년 | ’21년 | ’22년 | ’23년 |
850 | 770 | 1,040 | 1,580 | 1,800 |
*’23년은 추정치
[자료원]Statista(’24.8월)
o 니켈 원광 수출 금지 정책의 배경
– 인도네시아 정부는 ’09년 신광업법을 제정했다. 해당 법에 따라 광물 수출업체는 5년 이내에 제련소를 설치해야 하는 규정을 추가했다. 이를 통해 광산 개발 인허가 절차를 체계화하고, 석탄과 광물의 종류별로 내수시장에 대한 공급 의무를 부과했다.
’14년 신광업법 시행 5년 후 처음으로 니켈 원광 수출 금지 조치가 시행됐다. 그러나 당시 제련소 건설이 더디게 진행되었으며 다수의 업체가 규정을 준수하지 못해 수출량이 급감했다.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 정부는 ’17년부터 5년간 유예기간을 설정하여 한시적으로 니켈원광 수출을 재개했다. 하지만 ’19년 조코 위도도 대통령의 재선 후 니켈 원광 수출 금지 정책이 ’20.1월로 앞당겨 시행됐으며,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이는 자국 內 광물 자원의 현지 가공을 촉진하고,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 실제로 수출 금지 이후 中 기업은 인도네시아 니켈 산업에 약 300억 달러를 투자했다. 청산 (Tsingshan) 그룹의 모로왈리 (Morowali) 산업단지와 웨다 베이(Weda Bay) 산업단지에 대한 투자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정치적 측면에서는 인도네시아가 세계 최대 니켈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는 점을 활용, 자국 광물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고 국제 니켈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목적이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인도네시아가 향후 니켈 공급을 주도할 가능성에 대해 언급한 바있으며, 이로 인해 세계 니켈 공급망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밝혔다. PT 발레 인도네시아(PT Vale Indonesia)의 Raden Sukhyar 위원은 “인도네시아의 니켈 광석은 다른 주요 생산국 대비 순도가 높아 채굴이 용이하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의 지리적 위치는 중국·일본·한국·대만 등 주요 시장과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다는 점에서 전략적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점을 바탕으로 인도네시아는 자원 통제 및 외국인 직접투자(FDI)를 활용해 다운스트림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전기차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o 수출 금지 정책의 효과
-對인도네시아 FDI 증가
▶ 니켈 원광 수출 금지 이후 인도네시아에 대한 FDI가 크게 증가했다. ’23년 對인도네시아 FDI 금액은 502억 달러로, ’20년 대비 75% 증가했다. 특히 기초금속 분야의 FDI는 ’23년 118억 달러에 달하며, ’20년 대비 97% 증가했다. 아울러 전체 FDI에서 기초금속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20년 이후로는 전체 FDI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 인도네시아 투자부에 따르면, ’23년 금속 부문에 대한 FDI의 약 60%가 중국 본토와 홍콩에서 유입됐다. 이는 中 기업의 활발한 인도네시아 진출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청산(Tsingshan), 장쑤 더롱(Jiangsu Delong) 등 中 기업은 과거 인도네시아에서 원광을 수입해 니켈선철·스테인리스 등을 생산하였으나, 원광 수출 금지 이후 인도네시아 도로왈라와 웨다 베이에 대규모 제련 시설을 구축했다.
현재 인도네시아 內에서 추진 중인 니켈 광산 프로젝트 대부분이 中 자본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그림 1] 인도네시아 FDI 현황 (단위: 천 달러, %)
▶ 중국 외에도 다양한 국적의 기업이 니켈 관련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산업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21년 LG에너지솔루션 ·LG화학·포스코홀딩스·LX인터내셔널·화유코발트(Huayou Cobalt)로 구성된 LG 컨소시엄은 인도네시아 정부와 98억 달러 규모의 MoU를 체결했다.
美 포드(Ford)는 中 화유코발트와 브라질 발레(Vale)와 ’23.3월에 니켈 처리 시설 설립을 위해 45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포스코 홀딩스도 4억 1,000만 달러를 투자해 니켈 제련 공장을 건설 중이다. 아울러 현대차는 이미 자사 전기차 모델인 아이오닉5와 코나를 현지 생산하고 있으며, LG에너지솔루션과 합작 법인인 HLI그린파워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완공하여 배터리를 양산하고 있다.
o 니켈 제련소 증가
▶ ’24.3월 기준 인도네시아 內 니켈 제련소는 총 44개에 달하며, 이는 인도네시아 內 모든 광종의 제련소 가운데 가장 많은 수치이다. ’20년의 13개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며,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 (EDSM)에 따르면, 향후 총116개의 니켈 제련소가 가동될 예정이다. 이러한 증가 추세는 자국 內 일자리 창출과 직결되며, 인도네시아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인도네시아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통해 경제 발전을 도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니켈 제품 수출 증가
▶ ’20년 약 8억 달러였던 인도네시아의 니켈 제품 수출액은 ’23년 68억 달러로 급증했다. 이는 신광업법 시행 전인 ’10년부터 ’13년 사이
의 니켈 원광과 니켈 제품 수출액 합계가 25억 달러에 머물렀던 것과 비교했을 때 큰 변화를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인도네시아 內 니켈 관련 부가가치가 크게 증가 했음을 알 수 있다.
[표 3] 인도네시아 니켈 제품(HS Code 75) 수출액 동향 (단위:억 달러)
’19년 | ’20년 | ’21년 | ’22년 | ’23년 |
8.2 | 8.1 | 12.8 | 59.8 | 68.2 |
[자료원] IHS Markit(’24.8월)
o 시사점
– ’23년 한국은 니켈 제품을 총 19억 달러 수입했다. 이 가운데 對인도네시아 수입액은 1,728만 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0.9% 차지했다. 한국이 인도네시아에서 수입하는 니켈 제품의 약 99%는 니켈 매트(HS Code 7501)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對인도네시아 니켈 제품의 전체 수입 비중은 낮으나, 니켈 매트와 같은 특정 제품군에서 인도네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것을 알 수 있다.
[표 4] 한국 니켈 제품(HS Code 75) 수입액 동향 (단위:천 달러)
국가 | ’19년 | ’20년 | ’21년 | ’22년 | ’23년 |
全 세계 | 1,095,792 | 1,011,279 | 1,448,975 | 1,861,975 | 1,904,441 |
호주 | 250,327 | 233,331 | 462,650 | 464,453 | 526,792 |
일본 | 206,705 | 187,533 | 221,586 | 189,261 | 233,603 |
인도네시아 | 26,387 | 24,922 | 15,076 | 78,870 | 17,284 |
[자료원] IHS Markit(24.8월)
– 피치 솔루션(Fitch Solution)에 따르면, 한국의 배터리 제조 산업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니켈 소비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23년 니켈 소비량은 9만 6,000톤에 불과하지만, ’30년에는 18만 1,000톤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러한 니켈 수요 증가세와 함께 한국의 인도네시아産 니켈 제품 수입도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니켈 원광 수출통제에도 불구하고, 우리 기업은 인도네시아 니켈 시장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출처: 인도네시아 투자부, IHS Markit, 피치 솔루션 등 KOTRA 자카르타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한인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 사전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