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4월 태국 방한객 11만9천명…지난해 동기보다 21% 줄어
올해 주요 국가들의 방한 관광객이 일제히 늘어났으나 유독 태국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태국은 코로나19 이전 동남아 국가 중 방한 관광객 1위 국가에서 이제는 베트남과 필리핀에 밀려 3위 국가로 추락했다.
17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해 1∼4월 한국을 찾은 태국 관광객은 11만9천명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1.1% 줄었다.
같은 기간 외국인 관광객이 86.9% 급증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 기간 중국 관광객은 470.1% 늘었고 일본은 85.7%, 대만은 77.9% 각각 증가했다.
다른 동남아 국가인 필리핀(75.7%), 인도네시아(50.8%), 말레이시아(35.1%), 베트남(29.4%), 싱가포르(10.6%) 등도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표] 국가별 외국인 관광객 추이 (단위: 명, %)
국가 | 2024년(1~4월) | 2023년(1~4월) | 증감률 | 2019년(1~4월) | 증감률 |
총 계 | 4,865,670 | 2,603,028 | 86.9 | 5,477,312 | -11.2 |
중 국 | 1,426,432 | 250,187 | 470.1 | 1,827,066 | -21.9 |
일 본 | 895,145 | 481,920 | 85.7 | 1,084,937 | -17.5 |
대 만 | 423,477 | 238,138 | 77.8 | 394,095 | 7.5 |
미 국 | 367,044 | 290,572 | 26.3 | 307,268 | 19.5 |
베트남 | 163,130 | 126,018 | 29.4 | 172,524 | -5.4 |
필리핀 | 158,301 | 90,120 | 75.7 | 164,993 | -4.1 |
홍 콩 | 153,102 | 108,307 | 41.4 | 209,380 | -26.9 |
태 국 | 119,455 | 151,480 | -21.1 | 203,380 | -41.3 |
인도네시아 | 103,769 | 68,795 | 50.8 | 94,010 | 10.4 |
말레이시아 | 103,716 | 76,792 | 35.1 | 134,064 | -22.6 |
싱가포르 | 100,648 | 90,970 | 10.6 | 65,059 | 54.7 |
(자료=한국관광공사)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도 태국 관광객 회복률은 저조하다.
올해 1∼4월 태국 관광객은 2019년 동기 대비 58.7% 수준에 그쳤다. 이는 전체 외국인 관광객 회복률(88.8%)과 큰 격차를 보였다.
다른 동남아 국가인 싱가포르(154.5%), 인도네시아(110.4%)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뛰어넘었고 필리핀(95.9%)과 베트남(94.6%)도 근접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만 해도 태국 관광객은 57만2천명에 달해 베트남(55만4천명)과 필리핀(50만4천명)을 제치고 동남아 국가 중 1위였다. 태국에서는 K-팝, K-드라마 등의 폭발적인 인기로 한국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그러나 올해 관광객은 베트남(16만3천명)과 필리핀(15만8천명)에 밀려 3위로 순위가 하락했고 인도네시아(10만4천명), 말레이시아(10만4천명), 싱가포르(10만1천명)와도 큰 차이가 없었다.
올해 태국 관광객 발걸음이 줄어든 것은 동남아 한류 중심지로 꼽히던 태국에서 한국 입국 거절 사례가 잇따르며 반한(反韓) 감정이 싹텄기 때문이라고 관광업계는 지적한다. 그 배경에는 ‘K-ETA’라는 사전 전자여행허가 제도가 있다.
K-ETA는 112개 무사증(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 국적자가 우리나라에 입국하기 위해 현지 출발 전에 홈페이지에 정보를 입력하고 입국을 허가받는 제도다. 올해 말까지 일본·대만·홍콩·싱가포르 등 22개국은 K-ETA가 한시 면제됐지만 태국은 포함되지 않았다.
[표] 연도별 태국 방한 관광객 추이 (단위: 명)
연도 | 태국 관광객 |
2012 | 387,441 |
2013 | 372,878 |
2014 | 466,783 |
2015 | 371,769 |
2016 | 470,107 |
2017 | 498,511 |
2018 | 558,914 |
2019 | 571,610 |
2020 | 76,568 |
2021 | 8,319 |
2022 | 179,259 |
2023 | 379,442 |
2023(1~4월) | 151,480 |
2024(1~4월) | 119,455 |
(자료=한국관광공사)
또 태국에서 K-ETA 거절 사례가 많고 거절 사유도 설명해 주지 않다 보니 불만이 쌓인 것이다. K-ETA 허가가 나도 국내 공항 도착 후 입국 심사를 통과하지 못해 돌아가는 사례도 있었다. K-ETA를 신청해도 국내 공항에서 입국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이런 입국 거부 사연들이 태국 소셜미디어(SNS)에 소개되면서 현지에서 큰 이슈가 되기도 했다.
이처럼 태국에 대해 K-ETA 허들이 높은 것은 태국이 국내 불법 체류자 1위 국가이고 불법체류자들이 마약과 성범죄 등 강력범죄로 유입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법무부는 지난해 브리핑을 통해 “불법 체류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하는 것으로 태국인만을 차별하진 않는다”고 강조했다.
태국 관광객들은 일본과 중국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일본관광청에 따르면 올해 1∼4월 일본을 찾은 태국 관광객은 46만6천명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7.5% 늘었다.
올해 일본을 찾은 태국 관광객은 한국을 찾은 태국 관광객의 3.9배였다.
코로나19 전인 2019년 1∼4월에는 일본을 찾은 태국 관광객이 51만3천명으로 한국을 찾은 태국 관광객(20만3천명)의 2.5배 정도였는데 격차가 더 벌어졌다.
일본이 코로나19 이후 태국 관광객에 대해 무비자를 시행한 데 이어 중국도 올해 3월부터 태국과 상호 비자 면제를 시작했다. 반면 한국에서 태국은 무비자였다가 코로나19 이후 K-ETA가 생긴 것이다.
올해 연간 2천만명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목표로 정한 관광 당국으로선 동남아 방한 1위 국가에서 이런 상황이 벌어진 데 대해 난감할 수밖에 없다.
문체부 관계자는 “주요 국가의 방한 관광객이 다 늘었는데 유독 태국만 줄어든 건 K-ETA 이슈로밖에 설명이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불법 체류자 문제 등으로 우리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 출입국 절차가 엄격한 편이지만 올해가 ‘한국방문의해’여서 K-ETA 한시 면제를 요청했으나 법무부 입장이 강경하다”고 지적했다.
한국과 태국 양국은 2023∼2024년을 ‘한·태 상호방문의 해’로 지정했다. (사회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