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방문 관광객 증가에도 태국만 홀로 감소…동남아 3위로

붐비는 인천공항

올해 1∼4월 태국 방한객 11만9천명…지난해 동기보다 21% 줄어

올해 주요 국가들의 방한 관광객이 일제히 늘어났으나 유독 태국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태국은 코로나19 이전 동남아 국가 중 방한 관광객 1위 국가에서 이제는 베트남과 필리핀에 밀려 3위 국가로 추락했다.

17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해 1∼4월 한국을 찾은 태국 관광객은 11만9천명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1.1% 줄었다.

같은 기간 외국인 관광객이 86.9% 급증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 기간 중국 관광객은 470.1% 늘었고 일본은 85.7%, 대만은 77.9% 각각 증가했다.

다른 동남아 국가인 필리핀(75.7%), 인도네시아(50.8%), 말레이시아(35.1%), 베트남(29.4%), 싱가포르(10.6%) 등도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표] 국가별 외국인 관광객 추이 (단위: 명, %)

국가 2024년(1~4월) 2023년(1~4월) 증감률 2019년(1~4월) 증감률
총 계 4,865,670 2,603,028 86.9 5,477,312 -11.2
중 국 1,426,432 250,187 470.1 1,827,066 -21.9
일 본 895,145 481,920 85.7 1,084,937 -17.5
대 만 423,477 238,138 77.8 394,095 7.5
미 국 367,044 290,572 26.3 307,268 19.5
베트남 163,130 126,018 29.4 172,524 -5.4
필리핀 158,301 90,120 75.7 164,993 -4.1
홍 콩 153,102 108,307 41.4 209,380 -26.9
태 국 119,455 151,480 -21.1 203,380 -41.3
인도네시아 103,769 68,795 50.8 94,010 10.4
말레이시아 103,716 76,792 35.1 134,064 -22.6
싱가포르 100,648 90,970 10.6 65,059 54.7

(자료=한국관광공사)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도 태국 관광객 회복률은 저조하다.

올해 1∼4월 태국 관광객은 2019년 동기 대비 58.7% 수준에 그쳤다. 이는 전체 외국인 관광객 회복률(88.8%)과 큰 격차를 보였다.

다른 동남아 국가인 싱가포르(154.5%), 인도네시아(110.4%)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뛰어넘었고 필리핀(95.9%)과 베트남(94.6%)도 근접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만 해도 태국 관광객은 57만2천명에 달해 베트남(55만4천명)과 필리핀(50만4천명)을 제치고 동남아 국가 중 1위였다. 태국에서는 K-팝, K-드라마 등의 폭발적인 인기로 한국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태국에서 온 BTS 팬들
태국에서 온 BTS 팬들

  • (서울=연합뉴스) 태국에서 온 방탄소년단 팬(아미)들이 13일 오전 서울 송파구 잠실종합운동장 일대에서 열린 ‘2024 FESTA’에서 기념품을 내보이고 있다. 2024.6.13 

그러나 올해 관광객은 베트남(16만3천명)과 필리핀(15만8천명)에 밀려 3위로 순위가 하락했고 인도네시아(10만4천명), 말레이시아(10만4천명), 싱가포르(10만1천명)와도 큰 차이가 없었다.

올해 태국 관광객 발걸음이 줄어든 것은 동남아 한류 중심지로 꼽히던 태국에서 한국 입국 거절 사례가 잇따르며 반한(反韓) 감정이 싹텄기 때문이라고 관광업계는 지적한다. 그 배경에는 ‘K-ETA’라는 사전 전자여행허가 제도가 있다.

K-ETA는 112개 무사증(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 국적자가 우리나라에 입국하기 위해 현지 출발 전에 홈페이지에 정보를 입력하고 입국을 허가받는 제도다. 올해 말까지 일본·대만·홍콩·싱가포르 등 22개국은 K-ETA가 한시 면제됐지만 태국은 포함되지 않았다.

[표] 연도별 태국 방한 관광객 추이 (단위: 명)

연도 태국 관광객
2012 387,441
2013 372,878
2014 466,783
2015 371,769
2016 470,107
2017 498,511
2018 558,914
2019 571,610
2020 76,568
2021 8,319
2022 179,259
2023 379,442
2023(1~4월) 151,480
2024(1~4월) 119,455

(자료=한국관광공사)

또 태국에서 K-ETA 거절 사례가 많고 거절 사유도 설명해 주지 않다 보니 불만이 쌓인 것이다. K-ETA 허가가 나도 국내 공항 도착 후 입국 심사를 통과하지 못해 돌아가는 사례도 있었다. K-ETA를 신청해도 국내 공항에서 입국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이런 입국 거부 사연들이 태국 소셜미디어(SNS)에 소개되면서 현지에서 큰 이슈가 되기도 했다.

이처럼 태국에 대해 K-ETA 허들이 높은 것은 태국이 국내 불법 체류자 1위 국가이고 불법체류자들이 마약과 성범죄 등 강력범죄로 유입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법무부는 지난해 브리핑을 통해 “불법 체류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하는 것으로 태국인만을 차별하진 않는다”고 강조했다.

인천국제공항 입국심사 모습
인천국제공항 입국심사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태국 관광객들은 일본과 중국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일본관광청에 따르면 올해 1∼4월 일본을 찾은 태국 관광객은 46만6천명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7.5% 늘었다.

올해 일본을 찾은 태국 관광객은 한국을 찾은 태국 관광객의 3.9배였다.

코로나19 전인 2019년 1∼4월에는 일본을 찾은 태국 관광객이 51만3천명으로 한국을 찾은 태국 관광객(20만3천명)의 2.5배 정도였는데 격차가 더 벌어졌다.

일본이 코로나19 이후 태국 관광객에 대해 무비자를 시행한 데 이어 중국도 올해 3월부터 태국과 상호 비자 면제를 시작했다. 반면 한국에서 태국은 무비자였다가 코로나19 이후 K-ETA가 생긴 것이다.

국가관광전략회의 국민의례
국가관광전략회의 국민의례

  • (광주=연합뉴스) 8일 오후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린 제8차 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등 참석자들이 국민의례 하고 있다. 2023.12.8 

올해 연간 2천만명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목표로 정한 관광 당국으로선 동남아 방한 1위 국가에서 이런 상황이 벌어진 데 대해 난감할 수밖에 없다.

문체부 관계자는 “주요 국가의 방한 관광객이 다 늘었는데 유독 태국만 줄어든 건 K-ETA 이슈로밖에 설명이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불법 체류자 문제 등으로 우리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 출입국 절차가 엄격한 편이지만 올해가 ‘한국방문의해’여서 K-ETA 한시 면제를 요청했으나 법무부 입장이 강경하다”고 지적했다.

한국과 태국 양국은 2023∼2024년을 ‘한·태 상호방문의 해’로 지정했다. (사회부)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