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면 ‘디지털 관광주민증’ 발급받고 할인받으세요

디지털 관광주민증

휴가에 한국가면 ‘디지털 관광주민증’ 발급받고 전국 34개 지역에서 할인받을 수 있다.

#. 강원 평창으로 여름휴가를 계획한 A씨는 지역 맛집 정보를 검색하다 우연히 ‘디지털 관광주민증’을 알게 됐다. 정부에서 발행하는 일종의 ‘명예 주민증’으로, 이를 통해 현지에서 받을 수 있는 할인 등의 혜택이 생각보다 쏠쏠했다. 여행지 입장료는 물론 유명한 카페와 숙소까지 최대 50% 할인이 적용됐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앱으로 발급받을 수 있었는데, 관광주민증 발급 외에도 평창에 대한 축제, 방문 팁뿐 아니라 여행 코스도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AI 여행 플래너’ 기능도 있어 여행 계획을 짜는 데 큰 도움이 됐다.

한국 행정안전부는 6월의 추천 공공서비스로 ‘디지털 관광주민증’을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

디지털 관광주민증은 인구감소 위기를 겪는 지역의 관광 활성화를 위해 2022년 도입된 서비스다. 해당 지역을 찾은 이용자가 지역 유명 관광지부터 식음료, 숙박까지 다양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관광주민증은 ‘대한민국 구석구석’ 앱이나 누리집에서 발급받을 수 있으며, 강원 평창과 충북 옥천, 충남 태안 등 34개 지역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대한민국 구석구석’에서는 ‘AI콕콕 플래너’ 기능도 제공된다. 목적지와 일정, 여행 테마 등 간단한 정보만 입력하면 적합한 관광 시간과 동선이 포함된 ‘맞춤형 여행코스’를 추천받을 수 있다.

행안부는 이달의 추천 공공서비스로 ‘국내 수하물 짐 배송 서비스’도 선정했다.

이 서비스는 공항에 도착한 승객의 짐을 배송업체가 대신 찾아 숙소·자택 등 목적지까지 배달하는 서비스다.

전국 권역별 5개 공항(김포·김해·청주·대구·광주)과 제주공항 간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운항 노선이 있는 김포와 광주, 김포와 김해 구간에서도 이용할 수 있어 더 많은 지역에서 ‘빈손 여행’이 가능해졌다.

서비스 신청은 출발 하루 전에 하면 된다. 요금은 기내용 캐리어 크기의 소형 수하물의 경우 1만 5천 원, 대형 캐리어나 골프백 등은 2만 원 선에서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예약은 ‘통합예약 누리집'(www.airportbag.co.kr) 또는 짐 배송업체인 ‘짐캐리 에어패스 누리집'(www.zimcarry.net/airpass)을 통해 할 수 있다.

‘이달의 추천 공공서비스’에 관한 상세 콘텐츠는 행안부 누리집(mois.go.kr)과 정부혁신 누리집(혁신24, innovation.go.kr) 및 SNS 채널(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생활부)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