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 운임비 상승 등에 미주·유럽-중동·아시아로 시장 양분
“공급처 다변화 비용 커져…한국 등 원유 수입국·정유업계 타격”
예멘 후티 반군의 홍해 선박 공격 사태로 인한 화물 운임 상승으로 본국과 좀 더 가까운 생산지에서 원유를 조달하는 것에 대한 가격적인 매력이 커지면서 세계 석유 시장이 점점 더 지역화(local)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블룸버그 통신은 4일(현지시간) 예멘 후티 반군의 홍해 선박 공격 사태로 수에즈 운하를 통한 석유·가스 수송이 크게 줄면서 세계 석유 시장이 미국·유럽 등 대서양 중심 시장과 걸프만·인도양·동아시아 중심 시장으로 양분되고 있다고 전했다.
물류 정보업체 케이플러에 따르면, 지난 달 수에즈 운하를 통과한 유조선 숫자는 홍해 사태가 본격화하기 직전인 지난해 11월에 비해 23% 줄었다.
같은 기간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은 73%,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은 65%씩 급감, 감소 폭이 원유보다 훨씬 컸다.
앞서 후티 반군이 지난해 11월 하순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침공을 비난하며 홍해 상에서 이스라엘 관련 선박을 공격하기 시작한 이후 세계적 핵심 물류 통로인 수에즈 운하를 통한 항로는 큰 타격을 받았다.
원유 거래상들에 따르면 수에즈 운하를 통한 원류 수송량 감소 속에 유럽 일부 정유사들은 지난 달 이라크산 원유를 아예 구매하지 않았다. 유럽 바이어들은 대신에 북해산과 남미 가이아나산 원유를 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에서는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산 원유 수요가 크게 늘면서 지난달 중순 원유 현물 가격이 급등했다.
석유제품 시장에서도 이런 시장 단절 추세가 나타났다. 아시아 시장에서는 유럽산 나프타(납사) 조달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에 나프타 가격이 지난주 2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인도·중동 지역 정유소에서 생산돼 유럽으로 가는 경유·항공유와 아시아로 가는 유럽산 중유·나프타가 가장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또 홍해 사태의 악영향이 해운 운임 상승을 통해 유가에도 반영되면서 가급적 가까운 지역에서 원유를 조달하려는 정유사들이 늘고 있다.
케이플러에 따르면 중동에서 북유럽으로 가는 수에즈맥스급 유조선의 운임은 12월 중순 이후 약 50% 뛰었다. 같은 기간 북해 브렌트유 유가도 약 8% 상승했다.
운임비 상승 여파로 지난달 아시아로 향하는 미국산 원유의 선적량은 전월보다 3분의 1 이상이 줄었다.
이처럼 세계 석유 시장이 양분되는 흐름이 영구적이지는 않겠지만, 현재로서는 한국·인도 등 석유를 수입에 의존하는 국가들이 원유 공급선을 다변화하기 어려워졌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특히 정유업계의 경우 급속히 바뀌는 시장 상황에 대응하는 유연성이 홍해 사태로 인해 제한되면서 마진이 잠식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케이플러의 빅토르 카토나 수석 원유 애널리스트는 “수송하기 쉬운 화물 쪽으로 (시장이) 돌아서는 것은 상업적으로 타당하며, 홍해 사태로 화물 운임이 고공행진 하는 한 그럴 것”이라면서 “(시장이) 공급 안정성과 이익 극대화 사이에서 어려운 균형 잡기를 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UBS 그룹의 원자재 애널리스트 조반니 스타우노보는 “공급처 다변화는 아직 가능하지만, 그 비용이 높아졌다”면서 “비용 상승을 최종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없는 한 정유사들의 마진이 잠식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해 사태로 인해 세계 석유 시장이 장기적으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지만, 단기적으로는 사태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오히려 당초 러시아·중국 선박은 공격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던 후티 반군이 지난 달 말 러시아산 원유를 싣고 가는 유조선을 공격한 이후 해상 물류 차질이 더 커질 위험성도 상당하다고 블룸버그는 덧붙였다. (연합뉴스 협약)
<저작권자 ⓒ한인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 사전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