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9∼12월 1만8명, 지난해에는 5만2천410명
올해는 2월초까지 2천822명…”우수한 방역정책으로 주요국보다 초과 사망률 낮아”
한국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초과 사망자’가 6만5천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과 사망’은 특정 시기에 통상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망 건수를 넘어선 추가 사망을 말한다. 코로나19가 발생하지 않았을 상황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더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는지 나타내는 수치다.
여기에는 코로나19에 감염돼 숨진 사망자뿐 아니라 보건·의료체계 부담 등 간접적 영향으로 인한 사망자도 포함된다.
12일 질병관리청이 통계청 자료를 인용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실에 제출한 ‘코로나19 초과 사망자 수’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여파로 초과 사망자가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다.
초과 사망자를 연도별로 보면 코로나19가 국내에 처음 발생한 2021년에는 35주(8월 29일∼9월 4일) 때 30명이 생긴 후 연말까지 1만8명이 발생했다.
지난해에는 한 해 동안 무려 5만2천410명이 초과 사망했다.
올해 들어서는 5주(2월 4일)까지 2천822명이 초과 사망해 2021년 8월 말부터 지난 2월 초까지 초과 사망자는 총 6만5천240명에 달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일정 기간에 통상 수준을 초과해 발생한 사망을 초과 사망으로 정의하는데, 과거 3년간 최대 사망자 수를 기준으로 잡는다.
통계청은 감염병 등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초과 사망을 활용한다. 다만 코로나19 외에도 고령화, 이상기후 등 다양한 요인이 사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해석에 유의해야 한다.
초과 사망자 규모는 각국의 감염병 확산 억제력뿐 아니라 보건의료 체계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수치로도 평가받는다. 초과 사망의 상대적 규모가 작을수록 감염병 유행에 잘 대응했다는 의미로 통한다.
초과 사망자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어서 코로나19 대유행 과정에서 효과적인 방역 정책으로 대다수 다른 선진국보다 선방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과 비교하면, 올해 5월 기준으로 국내 누적 초과 사망률은 6.86%로, 미국(12.57%), 이탈리아(10.8%), 영국(9.95%)보다 훨씬 낮았다.
비록 일본(2.96%), 프랑스(5.51%), 독일(6.06%), 뉴질랜드(0.11)보다는 높았지만, 이들 국가는 팬데믹 기간에 해외에 있던 자국민의 귀국까지 제한할 정도로 강력한 봉쇄정책을 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심지어 뉴질랜드는 자국의 주요 경제성장 동력이던 관광산업을 전면 중단하는 등 고강도 규제를 적용했다.
방역 규제가 너무 엄격해 코로나19뿐 아니라 독감, 교통사고 등 다른 사망 요인까지 억제한 경우에는 초과 사망자 수가 음수(-)로 나타날 수 있다.
[OECD 회원국과 우리나라의 누적 초과 사망률]
국가명 | 누적 초과 사망률 | 기준일 |
리투아니아 | 18.73 | 2023-05-28 |
칠레 | 16.68 | 2023-05-28 |
슬로바키아 | 15.69 | 2023-05-28 |
미국 | 12.57 | 2023-05-21 |
폴란드 | 11.42 | 2023-05-28 |
체코 | 11.3 | 2023-05-28 |
이탈리아 | 10.8 | 2023-05-28 |
라트비아 | 10.04 | 2023-05-28 |
영국 | 9.95 | 2023-05-28 |
스페인 | 9.62 | 2023-05-28 |
그리스 | 8.87 | 2023-05-28 |
헝가리 | 8.86 | 2023-05-28 |
오스트리아 | 8.76 | 2023-05-28 |
네덜란드 | 8.2 | 2023-05-28 |
이스라엘 | 7.93 | 2023-05-28 |
에스토니아 | 7.89 | 2023-05-28 |
슬로베니아 | 7.79 | 2023-05-28 |
스위스 | 7.55 | 2023-05-28 |
포르투갈 | 7.44 | 2023-05-28 |
아일랜드 | 7.35 | 2023-05-28 |
벨기에 | 7.33 | 2023-05-28 |
대한민국 | 6.86 | 2023-05-28 |
아이슬란드 | 6.19 | 2023-05-28 |
핀란드 | 6.07 | 2023-05-28 |
독일 | 6.06 | 2023-05-28 |
프랑스 | 5.51 | 2023-05-28 |
노르웨이 | 4.88 | 2023-05-28 |
일본 | 2.96 | 2023-05-31 |
덴마크 | 2.23 | 2023-05-28 |
뉴질랜드 | 0.11 | 2023-05-28 |
룩셈부르크 | -1.91 | 2023-05-28 |
-OurWorldinData 제공자료 ’23년 5월 기준(5월 자료 미보유 7개국 제외)
-2020년 1월 1일부터 누적 추계 사망자 수와 보고사망자 수 차이 비율, 보고사망자 수는 보고의 불완전 및 지연 보고에 따라 사망자가 모두 포함되지 않을 수 있음
-국가 간 비교는 사망 보고 완료율의 차이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
질병관리청은 “전례가 없는 팬데믹 위기로 전 세계가 많은 경제·사회적 피해를 겪었다”며 “우리나라는 유행 상황별 효과적 대응으로 낮은 치명률을 유지하는 등 해외 주요국보다 상대적으로 대규모 유행을 안정적으로 관리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코로나19로 인한 누적 치명률(2023년 6월 5일 기준_은 우리나라가 0.11%로 미국(1.09%), 영국(0.92%), 프랑스(0.42%), 일본(0.22%) 등은 물론 OECD 평균(0.79%)보다 훨씬 낮았다.
정춘숙 의원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와 구조적인 원인을 진단해 새로운 팬데믹에 대응할 수 있게 시급히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협약)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