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폐기물 처리 사업’에 주목해야

인도네시아에서는 저렴하고 편리하다는 이유로 비닐봉지, 빨대, 컵 등 일회용 플라스틱을 일상 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Nature Communications에 따르면, 매년 약 115만~241만 톤의 플라스틱이 전 세계의 강에서 바다로 유입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수마트라와 자바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약 200,000톤에 이른다. 이로 인해, 인도네시아는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해양 플라스틱 오염에 기여하는 국가가 되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2018년 유엔 해양회의에서 “폐기물 제로화”를 기치로 2025년까지 플라스틱 쓰레기를 70%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또한 정부는 육상 폐기물 관리를 위한 국가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예산 부족과 기술력 부재 등으로 인해 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Sustainable Waste Indonesia(SWI)의 2022년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률이 7%에 불과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중앙정부, 지방정부 및 민간기업들은 폐기물 처리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가장 최근인 2023년 3월 홍콩의 Alba Group은 끈달 리젠시(Kendal Regency)에 2.5 헥타르에 약 7000억 푸리아를 투자해 플라스틱 및 전자 폐기물 재활용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다.

이 시설은 끈달 리젠시 지역 플라스틱 폐기물을 재활용해 플라스틱 펠릿(pellet) 형태로 생산된 제품은 수출을 통해 외화 수입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4월에는 싱가포르의 기술회사인 MARS-ENVOTEC은 인도네시아 식음료산업협회(GAPMMI)와 협력하여 도시 폐기물, 플라스틱 및 유기물로부터 합성 연료 및 기타 녹색 에너지 제품을 만들기 위해 업스트림에서 다운스트림까지 폐기물 관리 솔루션을 개발한다고 밝혔다.

또한, 2022년 6월에는 한국의 대한이앤씨가 인도네시아 국영기업인 PT ADHI Karya와 인도네시아 최대 쓰레기 매립장인 반타르 그방(Bantar Gebang)의 ‘폐기물 에너지화(Waste to Energy) 설비 공급’을 위한 2,2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해 현재 최종 테스트를 거치고 있다.

이로 인해 반타르 그방은 현재 하루 100톤에 불과했던 폐기물 처리 용량을 하루 1,000톤으로 늘리게 되었으며, 이 폐기물은 석탄 대체할 수 있는 400~450톤의 연료로 가공되어 다운스트림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도시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외에도 일본, 독일 등 여러 국가에서 인도네시아의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사업에 직간접 투자가 이어지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지방정부 또한 지역 폐기물 관리 시스템 도입을 위해 해외 기술 및 투자 기업을 유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편,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인도네시아 정부와 민간 부문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일례로, 반둥시는 폐기물 재활용을 위해 인도네시아 스타트업인 ‘Octopus’와 협업해 반둥시 주민들이 폐기물을 더 쉽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쓰레기 수거업자와 소상공인을 연결하고 있다.

주민들이 Octopus 애플리케이션에서 쓰레기의 종류와 크기와 함께 쓰레기의 양을 입력한 다음 쓰레기 수거 장소를 선택하면, 담당자가 미리 정해진 수거 장소에서 쓰레기를 수거한다.

이 과정에서 반둥시 주민들은 충전(pulsa), 데이터 패키지, 전자 토큰 등으로 교환할 수 있는 포인트를 얻게 된다. 이를 통해 환경 보호와 동시에 지역 주민들의 마이크로 비즈니스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인도네시아 스타트업 중 폐기물 처리 부문에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Waste4Change’는 올해 3월에 인도네시아의 7개 대기업과 폐기물 관리 대행 프로젝트를 위한 협약을 발표했는데, 해당 프로젝트는 약 2,500억 루피아 규모로 추정되고 있다.

이외에도 ‘Dibuang’, ‘eRecycle’, ‘Duitin’ 및 ‘Rekosistem’ 등 많은 민간 기업들이 폐기물 패키기 바코드를 활용한 폐기술 수거, 디지털 화폐로의 보상 등 환경 보호와 지역 주민을 위한 경제적 지원을 동시에 만족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경제부)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