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6년 세계 8위, 2050년 세계 4위 인도네시아 경제전망 보고서

– 인도네시아의 노동생산성 증대 이슈는 경제발전의 선행 과제 –

코로나 사태 이전부터 시작된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탈중국화 이슈로 현재 반사 이익을 받는 나라들로 베트남, 인도, 인도네시아 등에 관심이 많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벌써 베트남의 경우 2020년 코로나사태 이후 가장 탈중국화 특혜를 받은 국가로 자리매김을 한 상태이고, 인도 역시 미중 무역전쟁 이전부터 글로벌 생산기지로서는 중국 다음으로 견줄만한 천혜의 입지 국가였다.

다음으로 인도네시아에 대한 글로벌 관심도가 최근 다시 부각되기 시작했다.

우선 영국의 싱크탱크 경제경영연구소(CEBR)의 작년도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가 작성 1년 후 재기사화 되었다. 자그마치 향후 15년간의 경제 전망을 하면서 2036년에 중국(1위), 인도(3위), 일본(5위), 그리고 인도네시아(8위)를 예상했다. 한국은 애석하게도 현재 10위권에서 2036년에는 12위로 하락 예상했다.

지난달 골드만삭스는 더 엄청난 장기전망인 ‘2075년 글로벌 경제전망’이라는 보고서를 내놓으며 2050년이 되면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의 경제대국으로 급성장하고, 이집트와 나이지리아 경제도 15위 권으로 성장할 전망이라고 했다. 한국은 12위에서 15위로 하락추세는 심화될 예정이라 한다.

이들 보고서의 GDP 성장전망 관점 이슈는 생각보단 단순하다.

바로 인구증가와 경제발전의 비례관계다. 현재 인구순위는 1위 중국, 2위 인도, 3위 미국, 4위 인도네시아 순서다. G1 미국과 G2 중국간 무역냉전의 상황에 인도와 인도네시아가 주목을 받는 건 예상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보고서는 2050년 인구예상 순위를 1위 인도(16.7억명), 2위 중국(13.2억명), 3위 미국(3.8억명), 4위 나이지리아(3.7억명), 5위 파키스탄(3.7억명), 6위 인도네시아(3.2억명)으로 예상하고 있다. 당연 인구가 지속 감소하는 한국의 경우 경제발전은 고사하고 하락의 길 밖에는 없어 보인다.

필자도 분명 보고서들과 같이 인도네시아의 지속적 경제성장과 미래의 전망이 긍정적이라 한 부분은 인정한다.

현재 2.7억명 인구에서 꾸준히 늘어나는 인구숫자의 내수시장과 풍부한 노동인력 공급능력, 천연자원 보유국가로서 코로나시기 다소 하락에도 불구하고 GDP성장률은 매년 4~6% 이상 지속 성장이 유지되고 있으며, 아직은 1인당 국민소득이 5천 달러 수준이지만 향후 1만 ~1만5천 달러 수준이 넘을 시 내수를 포함한 경제성장의 탄탄함은 상상 이상일 것으로 예상한다.

그렇지만 이 세상 어떤 것도 얻기 위한 대가는 분명 있다.

단순히 인구숫자만 엄청나게 많고 천연자원이 많다고 따 놓은 금수저라고만 할 수는 없다. 경제발전을 위해 당연 수많은 요소가 있겠지만 그 중 인도네시아의 노동생산성 증대 이슈는 경제발전에 분명 선행과제일 것이 분명하다.

지난해 CEIC 노동생산성 지수 자료에 의하면 인도네시아는 1.64% 수준이다. 코로나시절 마이너스를 제외하고 지난 10년간 평균 2.94% 였으니 지속 하락 추세다. 인도의 경우도 생산성 2.91%에 10년 평균 5.24%이니 역시 하락 추세다.

중국의 생산성은 현재 9.0%에 10년 평균 7.45%으로 지속 상승 추세이며, 베트남의 경우 현재 15.12%에 10년평균 9.22%로 역시나 상승 추세인 국가다.

고작 인구 3천만명의 인근국가 말레이시아만 해도 노동생산성은 10.2%에 과거 10년 평균 5.52%이라면 아직도 말레이시아의 노동생산성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투자유치가 활발한 연유다.

경제발전을 위한 노동생산성 증대의 기초 역시 혁신과 기술개발 등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그 핵심은 사고의 전환이다. 답을 얻으려면 질문을 해야 답을 얻듯이 좋은 답을 얻으려면 좋은 질문을 고민하고 생각해 내야 한다.

심리학에 ‘프레임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동일한 현상을 관점에 따라 전혀 다르게 볼 수 있는 능력이 우리 인간에겐 존재한다. 물잔에 물이 반이 들어 있다면 당신은 절반밖에 안 남은 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절반씩이나 남은 물로 볼 것인가. 경제도 경제주체들 간의 지속적 생산성 체감의 법칙을 깨고자 하는 프레임 전환과의 치열한 투쟁의 역사다.

<저작권자 ⓒ한인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 사전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