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모르게 먹는 미세플라스틱은 어디서

우리나라 사람은 음식을 섭취하면서 하루 16.3개의 미세플라스틱을 먹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일단 이 정도의 미세플라스틱으로는 건강상 위해가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미세플라스틱은 인위적으로 제조됐거나,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등이 미세하게 분해돼 만들어진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입자를 말한다.

식약처는 국내 유통 중인 해조류, 젓갈류, 외국에서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보고된 식품 등 11종, 102품목을 대상으로 2020∼2021년 미세플라스틱 오염도와 인체 노출량을 조사했다고 11일 밝혔다.
미세플라스틱 오염도와 식품 섭취량을 토대로 계산했을 때 식품을 통한 미세플라스틱 섭취량은 1인당 하루 평균 16.3개였다.

그렇다면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식약처는 지금까지 알려진 미세플라스틱의 독성정보로 분석할 때, 이 정도의 섭취량은 건강상 영향을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2019년 식약처에서 하루 6만개의 미세플라스틱을 28일간 경구투여하는 동물실험을 한 결과 독성학적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세계식량기구(FAO)도 조개류를 통한 미세플라스틱 하루 섭취량은 1∼30개로 추정되지만 유해한 영향이 나타난다는 증거는 없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주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이었다.
미세플라스틱이 가장 많이 검출된 제품은 젓갈로 1g당 6.6개가 나왔으며, 최소 검출 제품은 액상 차로 1㎖당 0.0003개 수준이었다.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은 대부분 300㎛ 미만의 크기였으며, 45∼100㎛ 사이의 미세플라스틱이 가장 많았다.

식약처는 조리 전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를 세척하고, 바지락 등 조개류를 해감하면 미세플라스틱의 상당량을 제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경제]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