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카르타=한인포스트] 인도네시아 부패방지위원회(KPK)는 서부 자바주 시레본(Cirebon) 2호 석탄화력발전소(PLTU) 프로젝트와 관련된 대규모 뇌물 의혹 사건에 대해, 한국 검찰의 공식 요청에 따라 사건 전반에 대한 심층 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번 사건에서 현대건설의 총괄 매니저 A씨를 핵심 용의자로 지목되면서, 양국 사법당국 간 긴밀한 협력이 이뤄지고 있다.
한-인도네시아 수사 공조…상호법률원조 통한 심층 조사
2025년 5월 28일, KPK 대변인 부디 프라셋요(Budi Prasetyo)는 “한국 검찰의 요청에 따라 Cirebon 2 PLTU 프로젝트 관련 뇌물 의혹 사건을 심도 있게 조사하고 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심층 수사는 상호법률원조(Mutual Legal Assistance, MLA) 제도를 기반으로 한국과 인도네시아 양국 간 국제적 법집행 협력이 한층 강화되는 계기가 되고 있다.
KPK는 2025년 5월 27일, 자카르타 소재 KPK 메라 푸티(빨간-하얀색) 빌딩에서 Cirebon 군청 소속 공무원 리타 수사나 수프리얀티(Rita Susana Supriyanti)를 소환해 참고인 조사를 실시했다.
리타는 해당 발전소 프로젝트 인허가와 연계된 뇌물 및 부정 청탁 의혹에 대해 핵심 증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디 프라셋요 대변인은 “KPK는 이번 조사를 통해 건설 사업 과정에서 발생한 부패 실태를 면밀히 파악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 검찰의 공식 요청에 부응하는 중요한 절차”라고 강조했다.
뇌물 수수 약속과 금전 전달…100억 루피아 상당의 의혹
이번 사건의 실질적 발단은 2018년, 시레본 군수 순자야 푸르와디사스트라(Sunjaya Purwadisastra)가 KPK에 의해 현행범으로 체포(OTT)되면서 불거졌다. 그는 현대건설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추진한 Cirebon 2 PLTU 프로젝트의 사업 인허가 과정에서 뇌물을 수수한 정황이 포착됐다.
KPK 및 법원 기록에 따르면, 순자야 전 군수는 프로젝트의 원활한 추진을 명분으로 2,000억 루피아 상당의 거액 수수료를 요구했으나, 실제로 전달된 금액은 약 60억 4천만 루피아에 불과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한화로 약 5억 원에 해당하는 액수다. 리타 수사나는 2023년 5월 반둥 부패특별법원에서의 증언을 통해 “실제로 순자야 전 군수는 PT Cirebon Energi Prasarana(CEP)의 기업홍보 담당자 떼구 하리요노(Teguh Haryono)로부터 10억 루피아만 수령한 것에 불만을 표하며, 추가 지급을 독려하도록 지시했다”고 진술했다.
이 과정에서 순자야는 현지 주민 시위를 빌미로 ‘안전 자금’ 명목의 추가 뇌물 지급을 현대건설 측에 요구했다.
이는 발전소 설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갈등을 잠재우라는 조건을 내세운 것으로, 그 배경에는 현대 측에 100억 루피아를 제공하는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Rizal Akbar Fauzi 정치 경제기자)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