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동남아 스마트폰 시장 1∼3위 싹쓸이…삼성은 4위로 하락

동남아시아 스마트폰 출하량 점유율 추이 [카날리스 제공]

中 트랜션, 작년 4분기 점유율 17%로 첫 1위…삼성은 15%

2023년 초까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압도적 1위였던 삼성전자[005930] 스마트폰 점유율이 4위로 떨어지며 상위권을 모두 중국업체에 내줬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는 작년 4분기 출하량 기준 동남아시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에서 트랜션이 17%로 첫 1위를 차지했고 오포와 샤오미가 각각 16%로 뒤를 이었다고 11일 밝혔다.

4위는 점유율 15%를 기록한 삼성전자였고 역시 중국업체 비보가 14%로 뒤를 바짝 추격했다. 애플과 리얼미의 점유율은 각각 9%였다.

1위를 기록한 트랜션은 아프리카와 남아시아 시장에서 10만∼20만원대 스마트폰을 판매하는 중국의 대표적인 저가 스마트폰 제조업체다.

삼성전자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점유율 25%를 넘어서며 압도적 1위였던 2022년 1분기 트랜션은 점유율 10%에 못 미치며 5위였지만 지난해 4분기 처음으로 1위로 올라섰다.

트랜션의 1위 등극은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에서 신제품 출시가 호조를 보인 영향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전체 동남아시아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9천670만대를 기록했고, 오포가 처음으로 선두를 차지했다.

오포는 출하량 1천690만대로 점유율 18%를 기록했고, 2위는 1천660만대를 출하하며 17%를 기록한 삼성전자 차지였다.

트랜션과 샤오미는 각각 16% 점유율로 공동 3위에 올랐다.

카날리스는 “동남아시아에서 스마트폰 제조업체 순위가 자주 재편되는 것은 더 이상 판매 규모만으로는 브랜드의 시장 지위를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기기 판매를 넘어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등으로 수익원을 확장하는 업체가 강력한 입지를 확보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삼성전자가 최근 이 시장에서 갤럭시 탭 S 또는 A 시리즈와 갤럭시 소프트웨어 제품군을 통합해 학생과 교사를 지원하는 전략을 쓰기 시작한 것이 미래의 스마트폰 판매 기회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사례라고 진단했다. (경제부)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