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과점 따른 운임상승 가능성은 우려…인력 구조조정도 풀어야할 과제
저비용항공사(LCC) 진에어와 에어부산, 에어서울 합병으로 중복노선 통폐합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대한항공·아시아나 기업결합 최종 승인으로 한국내 유일의 ‘메가 캐리어(초대형 항공사)’ 탄생이 눈앞에 다가오면서 한국내 항공산업도 지각변동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라는 두 대형항공사(FSC)의 합병에 따라 규모의 경제에 따른 경쟁력 상승이 기대되지만, 가격 상승, 소비자 편익 감소 등 독과점 폐해에 대한 우려도 가시지 않고 있다.
28일 국제항공운송협회(IATA)가 발간한 ‘세계 항공 운송 통계 2020’에 따르면 2019년 국제 여객 RPK(항공편당 유상승객 수에 비행거리를 곱한 것) 기준으로 대한항공은 18위, 아시아나항공은 32위를 차지했다. IATA는 코로나 사태 이후로는 이 순위를 발표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최종 합병 시 통합 항공사는 단순 합산으로 단숨에 11위로 뛰어오른다.
보유 항공기 수는 대한항공 158대(여객기 135대·화물기 23대), 아시아나항공 80대(여객기 68대·화물 12대)를 합쳐 총 238대에 이르게 된다.
아울러 지난해 기준 통합 매출 21조1천억원(대한항공 14조6천억원·아시아나항공 6조5천억원), 통합 자산 42조8천억원(대한항공 31조원·아시아나 11조8천억원) 규모로 몸집도 불어나게 된다.
대형 단일 국적항공사가 탄생하면 노선과 기재 운영의 글로벌 경쟁력은 기존보다 크게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비용 면에서 장점이 많다. 항공사는 몸집이 커질수록 유류 도입 원가, 공항 사용료, 기재 리스비 등에 대한 협상력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또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 인수 후 정비나 조종사 교육을 일원화하며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중복 노선 간소화를 통해 수익성도 개선할 수 있다.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과 경쟁하며 불필요하게 지출했던 비용을 국내 항공산업에 투자할 가능성도 있다.
항공정비(MRO)와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사업이 향후 투자사업으로 유력하게 거론된다.
노선 연결편과 마일리지 통합 면에서는 소비자 편익의 증대가 기대된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 후 이어질 산하 저비용항공사(LCC) 합병도 긍정적 측면이 더 많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전했다.
진에어와 에어부산, 에어서울 합병 시 보유 기단 규모나 매출 면에서 LCC 선두에 나서게 되고, 중복 노선 통폐합에 따라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메가 캐리어로 글로벌 10대 항공사로 출범하게 되면 규모의 경제 등을 통해 향후 성장 가능성이 커진다고 본다”고 말했다.
반면 유일한 대형 국적항공사라는 위치에 따른 독과점 문제는 우려 포인트다.
한국항공대 연구팀에 따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에 더해 산하 LCC 합병까지 이뤄질 경우 통합 항공사의 국제선 여객 수송 점유율을 73%까지 뛰어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통합 항공사의 점유율이 지나치게 높아질 경우 독과점 체제에 따른 운임 상승은 불가피하다는 것이 이러한 우려의 핵심이다.
우리나라는 항공권 가격에 대해 인가운임(국제선)과 신고운임(국내선) 등 항공사가 부과하는 최고 수준의 운임만 국토부가 관리하고 있어 실질적인 소비자가격에 대한 감시가 어려운 환경에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중복 노선 통폐합에 따라 소비자 선택지가 줄어드는 것도 문제다.
두 항공사의 중복 노선은 전체 노선의 42%에 달하는데 인수 주체인 대한항공은 포화인 중·단거리 노선은 줄이되 미국과 대양주 등 장거리 노선을 늘려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에다 자회사 LCC까지 통합하면 통합 항공사는 알짜 노선과 선호도가 높은 스케줄을 모두 갖게 돼 소비자 입장에서는 통합 항공사 외에는 다른 선택을 할 수 없는 상황을 맞이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와 공정거래위원회가 독과점 여부에 대해 철저한 감시를 해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합병 시 수반되는 인력 구조조정에 대해서도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고용 인원은 대한항공 1만9천425명, 아시아나항공 8천45명으로, 동종산업 합병에 따라 중복되는 업무에 대한 인원 조정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황 교수는 “마일리지 전환이나 인력 구조조정은 향후 풀어야 할 문제”라며 “다만 독과점 문제는 지난 4년간 공정위나 해외 경쟁 당국이 노선 반납 등으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작업을 많이 했기 때문에 리스크는 크게 줄어든 편”이라고 설명했다. (경제부)
<저작권자 ⓒ한인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 사전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