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 식도염은 위(胃)에만 있어야 할 위산이나 위의 내용물이 식도 안으로 거슬러 올라가 염증을 유발하고 가슴쓰림, 흉통, 인후부 불쾌감, 이물감, 연하곤란 등의 임상 증상을 보이는 상태를 말합니다.

최근 식생활 변화와 비만, 고령화 사회와 맞물려 그 유병률이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역류성 식도염은 그 경과가 만성인 경우가 많고, 일반적으로 통증이 심하지 않아서 치료에 적극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현대의학적 치료의 한계점으로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만성질환이 되고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탄산(呑酸), 조잡, 흉통(胸痛), 열격, 매핵기(梅核氣) 등이 역류성 식도염과 유사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는 과도한 스트레스나 급격한 정서의 변화로 인해 기(氣)가 뭉쳐서 발생하는 것으로 한의학적인 접근법이 효과가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

위와 식도 사이에는 강한 근육(식도괄약근)이 있어서 음식을 먹을 때만 열리고 평소에는 닫혀있어서 위산이나 위 내용물이 식도로 거슬러 올라가지 않게 막아 줍니다.

그러나 이 근육에 문제가 생겨서 느슨해지면 위산이나 위 내용물이 식도로 거슬러 올라가게 되고, 식도를 자극해 염증 등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대개 위 내시경 및 식도내 산도(pH)검사를 통해서 진단하게 되지만 검사 상에서 특별한 이상 없이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현대의학에서는 대부분 제산제나 위산분비억제제 등의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치료하고 있으나, 간혹 약물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식도-위 접합부의 이상으로 인한 경우 수술적 처치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의학에서 위-식도 역류질환과 유사한 것으로 특히 매핵기(梅核氣)라는 증상이 있습니다.
현대의학적인 검사상 특별한 이상이 없는데도 인후부위에 이물감을 느끼는 것으로, <동의보감>에서는 “목구멍에 매화씨나 흰 솜뭉치 같은 것이 막혀 있는 듯이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 해도 내려가지 않으며 발작할 때마다 숨이 끊어질 듯하고 구역질로 음식을 먹지 못한다.”고 증상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대개 과도한 스트레스나 급격한 정서의 변화로 인해 기(氣)가 뭉쳐서 담(痰)이 생기는 것으로 보고 치료해 왔습니다.

일반인들이 역류성 식도염과 관련해서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은 바로 과음과 과식입니다.

과음과 과식 후의 잦은 구토도 문제가 되지만, 위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고 위-식도 접합부의 긴장력이 약해져 위 내용물이 쉽게 식도로 역류 할 수 있게 됩니다.

특히 과음과 과식 후에 바로 누워서 잠을 자는 것은 역류성 식도염 발생을 부추기는 일이므로, 식후 30분 동안은 꼭 앉아 있거나 서 있는 것이 좋습니다.

과음, 과식 후에 구토를 하면서 간혹 피를 같이 토하는 경우(토혈, hemetemesis)가 있는데, 이는 역류성 식도염이 있을 때에도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며, 심한 구토로 하부식도의 점막이 찢어져서 출혈이 발생하는 말로리-와이즈 증후군(Mallory-Weiss syndrome)인 경우도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을 예방, 치료하기 위한 생활습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름진 음식이나 커피, 초콜릿, 술, 흡연, 카페인 음료, 탄산음료와 같이 괄약근에 무리를 주는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지나친 음식 섭취는 위산을 많이 분비시키고 위 배출을 지연시켜 역류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식사는 여러 번에 나눠 조금씩 먹는 것이 좋습니다.

3. 밤 늦게 음식을 먹게 되면 역류성 식도염 증상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취침 전에는 음식 섭취를 피하고, 식후에는 적어도 2~3시간은 눕지 않고, 가벼운 활동이나 휴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다만, 식사 후 1시간 내에 바로 운동을 하게 되면 위에 있는 음식이 아래에 내려가지 못하므로 식후 1시간 이후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복부비만이 심하면 위를 압박해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기 쉬우므로, 비만인 경우에는 몸무게를 줄여 식도가 받는 압력을 줄여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역류성 식도염에 좋은 음식으로는 양배추, 단호박, 현미, 마, 감자, 해조류, 브로콜리, 당근, 파, 마늘 등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역류성 식도염은 예방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규칙적이고 올바른 식습관을 꾸준히 실천하고, 증상이 있다면 적절한 치료와 더불어 체중을 줄이는 한편 고단백 저지방식을 해야 하며, 설탕 등의 단 것의 섭취를 줄여야 합니다.

<저작권자 ⓒ한인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 사전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