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플랑크톤 > 원생동물 플랑크톤 > 후생동물 플랑크톤 피라미드 구조
서울대 등 국내 공동연구진, 세계 최초로 밝혀
해양 생태계 먹이 사슬에서 식물 플랑크톤 > 원생동물 플랑크톤 > 후생동물 플랑크톤 피라미드 구조가 가장 많은 탄소를 보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내 연구진이 해양 생태계의 먹이망 구조(먹이 사슬)를 통해 탄소 중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았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연구재단은 서울대 정해진 교수팀과 서울대 강희창 박사, 포항공대 이기택 교수, 전남대 김광용 교수 등이 참여한 공동연구진이 해양 플랑크톤 군집 내 높은 탄소 보유량을 가지는 먹이망 구조를 찾아냈다고 16일 밝혔다.
탄소중립은 탄소 발생량과 흡수량이 같아지는 것을 말한다. 산업 활동 등으로 발생하는 탄소량을 급격히 감소시킬 수 없다면 흡수를 늘리는 방법으로 균형을 맞춰야 한다.
대기 이산화탄소의 25%를 흡수하는 해양의 역할에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전 세계 해양 광합성 생물의 탄소 보유량이 육상 광합성 생물의 1%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해양 생태계 먹이 사슬의 근간이 되는 해양 플랑크톤 군집 내 먹이망 구조에 주목해 전 세계 해양에서 채집·분석된 자료를 이용해 어떤 먹이망 구조가 가장 많은 탄소를 보유하는지 밝혀냈다.
총 6천954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식물 플랑크톤의 탄소량이 가장 높은 피라미드 구조가 57%로 제일 많았다.
다음으로는 식물 플랑크톤을 잡아먹는 단세포성 원생동물 플랑크톤의 탄소량이 가장 높은 다이아몬드 구조가 31%로 두 번째로 많았고, 원생동물 플랑크톤을 잡아먹고 어패류의 먹이가 되는 다세포 후생동물 플랑크톤의 탄소량이 가장 높은 역피라미드 구조가 13%로 가장 적다는 사실을 최초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먹이망 구조가 피라미드인 경우 가장 많은 탄소를 보유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정해진 교수는 “가장 많은 탄소를 보유하는 먹이망이 식물 플랑크톤 > 원생동물 플랑크톤 > 후생동물 플랑크톤 피라미드 구조로 밝혀진 만큼, 식물 플랑크톤을 늘리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무해성 식물플랑크톤 양을 늘리고 이를 잘 포식하는 원생동물 플랑크톤 양도 늘리는 방법을 찾는다면 해양생태계 내 탄소 보유량을 늘리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이날 실렸다. (사회부)
<저작권자 ⓒ한인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 사전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