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 정보를 잘 구축해야 스마트시티를 만드는데 큰 도움이 된다. 보다 나은 스마트시티를 꿈꾸는 전 세계 모든 도시가 이 점을 잘 알고 있지만 구현은 쉽지 않다. 데이터가 흩어져 있고, 표준화된 기술이 부족한데다 흩어진 자료를 모으려면 관련 부서 간의 이해 상충 문제도 극복해야 한다. 무엇보다 공간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 개인 정보 보호에도 유의해야 하는 탓이다.
싱가포로는 이 같은 장애를 극복하여 공간 정보를 잘 구축한 사례로 꼽히고 있다. 홍콩이 가장 본 받아야 할 대상으로 싱가포르를 꼽았다. 위니 탕 홍콩대학교 교수는 3일 에진사이트(ehinsight)에 이같은 내용을 글을 기고했다.
홍콩은 최근 5년 동안 스마트 시티 건설에서 뒤쳐졌다. 공간정보를 정책 결정에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던 것도 주요 원인이다. 공간정보의 가치는 싱가포르만 하더라도 2021년 기준 28억 홍콩달러(약 5,115억원)에 이른다. 영국 정부는 공간정보를 활용해서 얻게 될 경제적인 가치가 민간 부문에서만 연간 1,000억 홍콩달러(18조 2,740억원)에 달한다고 평가했다.
홍콩정부는 이 같은 공간정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정부 내 각 부서에 서로 다른 형태로 흩어져 있는 정보를 제대로 모으지 못했고, 그러다 보니 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개발에도 뒤쳐지게 됐다.
공간 정보 활용을 잘 하기 위해서는 ‘공간정보 인프라(CSDII, Common Spatial Data Infrastructure) 구축이 핵심이다. 싱가포르는 CSDI구축에 있어서 세계은행(World Bank)로부터 ‘국제적인 벤치마크 사례’로 꼽힐 정도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싱가포르기 이렇게 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투자됐다. 싱가포르도 데이터 표준 마련, 기술적인 장애 등을 겪었다. 2018년 ‘싱가포르 공간정보 마스터 플랜’을 세운 후 앞서 나가기 시작했다.
마스터 플랜에는 싱가포르 정부 내 각 부서가 언제까지 어느 정도로 공간정보 공개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목표가 분명하게 설정되어 있다. 설정된 목표 중에는 ▲ 2023년까지는 핵심 데이터의 90% 이상을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야 하며 ▲ 부서 간 걸쳐져 있는 프로젝트에 필요한 데이터는 7 영업일 이내에 공유할 수 있게 하는 것과 같은 구체적이고 상세한 설정이 되어 있다.
데이터의 품질에도 누가 어느 정도로 책임져야 하는 지에 대해서도 분명한 규정이 만들어 졌다. 싱가포르 정부는 2019년 이후에는 특정 데이터에 대한 정부 내 어떤 부서가 책임을 지고 정확성을 확인해야 하는지 정해 놓았다. 이에 따라 데이터 중복 생산을 줄이고 일관성과 정확성은 높이고, 제대로 업데이트 할 수 있게 되었다.
]공공부문과 민간의 협력에도 싱가포르 정부는 힘을 쏟았다. 드론을 이용한 이미지 확보,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 개발에 있어서 싱가포르 정부는 민간을 적극 활용했다.
법률적인 면과 개인 정보 보호 면에서는 2018년에 관련 법을 제정해서 정부 내 어떤 기구에서 특정한 비밀 정보를 다뤄야 할 지 정했고, 데이터를 잘못 이용할 경우에 어떤 벌을 줄 지에 대한 규정도 마련했다.
데이터를 자주 경신하기 위해 싱가포르 정부는 도시 전체에 거쳐서 사물인터넷(IoT)이 가능한 센서를 설치하고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게 했고, 드론을 이용해서 민간 부문에서 수집한 정보와 함께 수시로 업데이트 되게 했다.
탕교수는 홍콩에는 데이터를 개발하고 이끌고 갈 최고데이터책임자(CDO)가 없고, 데이터의 성과를 측정하고 관리할 성과측정기준(KPI)가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래서 홍콩에서는 지난 5년 동안 스마트시티 건설이 지지부진했고, 시너지도 일어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Smart City Today>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