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봉쇄로 美기업들 사이에 ‘베트남 엑소더스’

미국 기업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폐쇄조치로 공장 가동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는 베트남에서 생산시설을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이전을 고려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나이키는 최근 베트남 현지 공장 폐쇄로 10주간 생산 손실을 보았으며 향후 8개월간 제품 공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10주간 생산 손실은 나이키 신발 1억 켤레에 해당하는 규모라고 미 증권사 BTIG는 설명했다.
나이키는 또한 다른 국가에서 신발 생산을 확대하고 있고 의류 생산을 중국을 비롯한 다른 지역으로 옮기는 중이라고 밝혔다.

캐주얼 신발 브랜드 크록스의 앤드루 리스 최고경영자(CEO)도 9월 중순께 일부 생산을 베트남에서 다른 곳으로 이전 중이라며 인도네시아와 인도에서 제조시설을 늘리고 있다고 밝혔다.

생산시설의 탈(脫)베트남을 추진 중인 미국 기업은 이 두 곳에 그치지 않는다.
베트남 주재 미국상공회의소가 8월 제조업체 100개사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 응답 기업의 5분의 1이 이미 생산시설 일부를 다른 국가로 이전했다.

베트남 정부는 올해 들어 코로나19가 재확산하자 4개월 가까이 강력한 봉쇄 조치를 단행했다.
이로 인해 봉쇄령이 내려진 지역의 기업들은 직원들을 공장에서 숙식하게 하거나 최소한의 인원으로 공장을 운영할 수밖에 없어 일시적으로 문을 닫는 곳이 속출했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도 코로나19 확산의 여파로 가동률이 떨어지거나 조업을 중단하는 사태를 겪었다.

최근 베트남의 코로나19 확산세가 완화돼 공장 가동 재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으나, 이전과 같은 수준으로 공장 가동률을 끌어올리는 데엔 수개월이 걸릴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농촌 지역으로 돌아간 현지 인력들이 백신을 아직 접종하지 않았을 경우 공장으로 복귀를 꺼릴 것이고 성(省)간 여행 금지도 인력 보충의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베트남이 이번에 공장 폐쇄라는 강력한 조처를 한 점이 산업시설 입지로서 베트남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고 저널은 전했다.

인도네시아는 올해 코로나19 확산 시기에 일부 수출 기업은 계속해서 공장을 정상 가동할 수 있게 해줬고, 중국은 일부 항구와 특정 공장만 선별해서 폐쇄했다고 저널은 설명했다.’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