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도입될 여권 표지는 남색 계열
1988년부터 녹색 여권..새 여권 속지엔 다채로운 문화재
<차세대 전자여권 디자인 안(잠정). 일반 여권 겉면 색깔이 짙은 남색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서울대 김수정 교수는 2020년 도입될 차세대 전자여권 디자인 개선 작업을 올해 연말까지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문체부 제공]
대한민국 여권이 32년 만에 녹색 옷을 벗고 남색으로 갈아입는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외교부가 2020년 도입을 목표로 공동 개발 중인 차세대 전자여권 표지색이 남색 계열로 잠정 정해졌기 때문이다.
문체부는 5월 2일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2018~2022)을 발표하면서 2007년 여권 디자인 개선 공모전 최우수작(서울대 김수정 교수)을 토대로 한 차세대 전자여권 디자인 밑그림을 공개했다. 현재 일반이 사용하는 여권은 진녹색 바탕 중앙에 금박 국장(國章)이 있다. 이를 짙은 청색으로 바꾸는 안이 유력하며 국장 크기와 위치도 달라진다.
1994년 기계판독여권, 2005년 사진전사식 기계판독여권, 2008년 전자여권 등 여권 형태와 양식이 계속 변화하는 가운데서도 표지만은 녹색이 유지된 것을 고려하면 획기적인 변화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녹색 여권이 사용된 것은 1988년부터”라면서 “예정대로 2020년부터 남색 여권이 쓰이게 되면 32년 만에 바뀌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녹색 여권이 촌스럽다거나 문화적 맥락에서 우리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간간이 제기됐다. 지난 3월에는 ‘초록색 여권을 사용하는 나라는 이슬람 국가가 대다수’라며 표지를 파란색으로 변경해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등장하기도 했다.
차세대 전자여권 속지에는 페이지마다 각기 다른 우리 문화재 문양이 새겨질 것으로 보인다.
기존 여권에는 6개 원안에 들어간 당초와 작은 삼태극 문양 아래 숭례문과 다보탑이 번갈아가며 찍혀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문화재를 실을지는 자문회의 등을 거쳐 확정된다.
문체부 관계자는 “색 보정과 글씨체 보완 등 아직 세부적인 과정이 남아 있다”라면서 “올해 말까지 디자인 작업을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2020년 ‘차세대 전자여권’..색감 풍부하고 전통유물 가득”
디자인을 총괄하고 있는 김수정 서울대 미대 교수
“2020년 도입 예정인 ‘차세대 전자여권’은 기존 전자여권보다 색감이나 이미지가 풍부합니다. 특히, 우리 전통문화에 대해 다양한 볼거리를 배경에 많이 넣을 예정입니다. 기존 공모안의 골격을 이어가면서 세부적으로 수정보완해 오는 8월에 최종안을 내놓을 예정입니다.”
‘차세대 전자여권’ 디자인을 총괄하고 있는 김수정 서울대 미대 교수는 5월 2일 뉴스1과의 통화에서 “전자여권의 위·변조를 막기 위한 보안요소의 적용과 생산시설의 조건을 고려해 디자인 개발 단계부터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전자여권이 새로운 디자인과 보안요소를 적용해 ‘차세대 전자여권’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정부는 이날 발표한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2018~2022)에서 ‘차세대 전자여권 도입 계획’과 연계해 여권을 완전히 새롭게 디자인한다고 밝혔다.
차세대 전자여권의 디자인은 기존에 개발한 디자인을 수정·보완한다. 김 교수는 2007년 각계의 추천을 받은 디자이너 10명이 참여한 ‘여권 디자인 개선을 위한 공모전’에서 안상수 디자이너와 함께 최우수작을 공동수상했다. 차세대 전자여권은 당시 김 교수의 공모안을 바탕으로 한다.
김 교수는 “차세대 전자여권의 디자인안을 완성하고 조폐공사로 생산이 넘어가는 원고를 마무리하는 과정을 총괄한다”며 “디자인 작업을 지난 3월부터 시작해 오는 8월까지 마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차세대 전자여권의 디자인은 10년 전의 공모작과 기본 골격이 같다”며 “큰 틀을 가져오지만 전통문양 선정, 보안요소 적용, 생산시설의 조건 등을 고려해 공모안을 세부적으로 수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차세대 전자여권에 들어갈 전통 유물을 선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권에 들어갈 전통 유물을 5월까지 확정하려 한다”며 “유물 선정이 국민 정서에 부합할 수 있도록 전문가의 자문을 거치고 있다”고도 말했다.
차세대 전자여권의 디자인에는 위·변조를 막기 위한 보안요소를 함께 살펴야 한다. 김 교수는 “새롭게 적용할 보안 요소를 위해 유물의 디자인을 변경하거나 공모전 때 사용했던 특정 색상을 쓸 수 없는 경우도 있다”며 “위·변조를 막기 위해 구체적 내용은 밝힐 수 없다”고 설명했다.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2008년 국내에 처음 도입된 기존의 전자여권은 전자칩·책자번호 등 보안요소를 강화했지만 추가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여권 내 신원정보면이 보안요소의 변경이 없어서 위·변조 사례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여권의 신원정보면을 PC(Poly Carbonate) 재질로 제작해 보안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김 교수는 “여권 디자인의 콘셉트 자체가 보안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며 “차세대 전자여권에 적용될 보안기술은 제가 진행하고 있는 디자인과 별개로 전문팀이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김 교수는 디자인할 때부터 차세대 전자여권을 생산하는 시설의 조건도 고려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 운용되는 여권발급기는 총 87대로 한국조폐공사와 외교부가 운영하고 있지만 지난 2004년부터 3년간 구매가 이뤄져 노후화된 상태다. <뉴스1>
<저작권자 ⓒ한인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 사전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