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코로나 3년간 20·30세대 빚 가장 많이 늘었다…대출 27%↑

2금융권 대출 32% 급증…은행서 평균 7천82만원·2금융권 5천414만원 빌려
연체율도 오르는 추세…한은 가계대출자 연령·소득별 분석
양경숙 의원 “청년층 이자부담에 소비까지 위축…금융·경제 위험요소”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3년 동안 한국의 부동산·주식 등 자산 가격 급등과 경기 불황 등을 거치면서 빚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계층은 20·30대 젊은 세대로 확인됐다.

이들의 대출은 3년 새 30% 가까이 불었고, 은행과 2금융권에서 각 대출자 한 명당 평균 7천만원, 5천400만원가량을 빌린 상태였다.

연체율도 서서히 높아지는 추세로, 앞으로 고금리 상황이 장기간 지속되거나 경기 침체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면 아직 경제적 기반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청년층의 고통이 갈수록 심해질 것으로 우려된다.

코로나 3년 새 20·30세대 빚 가장 많이 늘었다…대출 27%↑
코로나 3년 새 20·30세대 빚 가장 많이 늘었다…대출 27%↑

◇ 코로나 3년간 전체 가계대출 은행 18%↑·2금융권 9%↑

30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현재 국내 은행권의 가계대출 차주(대출자) 수는 모두 1천490만명, 이들의 전체 대출 잔액은 902조2천억원에 이르렀다.

한은이 자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약 100만 대출자 패널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다.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 4분기(1천270만명·766조8천만원)와 비교하면 대출자 수, 잔액이 3년 새 각 17.3%, 17.7% 늘었다.

‘2금융권’으로 불리는 비은행금융기관(저축은행·상호금융·보험사·여신전문금융사 등)의 가계대출 잔액도 같은 기간 8.7%(2019년 4분기 468조5천억원→2022년 4분기 509조1천억원)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3년간 은행·2금융권 연령대별 가계대출 증감     ※ 한국은행 제공
2019년 4분기 2022년 4분기 증감율
한국내 은행 대출자 수·대출 잔액
전체대출자수 1천270만명 1천490만명 17.3%
전체대출잔액 766조8천만원 902조2천억원 17.7%
국내 은행 연령별 대출 잔액
30대이하 278조1천억원 354조8천억원 27.6%
40대 299조2천억원 325조2천억원 8.7%
50대 248조3천억원 255조2천억원 2.8%
60대이상 133조9천억원 166조1천척원 24.0%
국내 은행 연령별 대출자 1인당 평균 대출액
30대이하 5천980만6천원 7천81만8천원 18.4%
40대 9천379만3천원 1억356만7천원 10.4%
50대 8천773만9천원 9천81만9천원 3.5%
60대이상 7천565만원 7천725만6천원 2.1%
비은행 금융기관 대출 잔액
전체대출잔액 468조5천억원 509조1천억원 8.7%
비은행 금융기관 연령별 대출 잔액
30대이하 125조9천억원 159조7천억원 26.8%
40대 179조2천억원 197조4천억원 10.2%
50대 203조원 206조4천억원 1.7%
60대이상 154조7천억원 196조원 26.7%
비은행 금융기관 연령별 대출자 1인당 평균 대출액
30대이하 4천101만원 5천413만6천원 32.0%
40대 5천707만원 6천737만2천원 18.1%
50대 6천424만1천원 6천723만1천원 4.7%
60대이상 6천968만5천원 7천179만5천원 3.0%
은행+비은행 금융기관 연령별 대출 잔액 합계
30대이하 404조원 514조5천억원 27.4%
40대 478조4천억원 522조6천억원 9.2%
50대 451조3천억원 461조6천억원 2.3%
60대이상 288조6천억원 362조1천억원 25.5%

◇ 2금융권 대출, 30대 이하 32%↑…저소득자도 17% 늘어

가계대출자를 연령대로 나눠보면, 20·30세대가 대부분인 ’30대 이하’ 계층의 대출 급증세가 두드러졌다.

30대 이하의 대출 잔액은 작년 4분기 현재 은행권과 2금융권을 합해 모두 514조5천억원(은행 354조8천억원+2금융권 159조7천억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3년 전인 2019년 4분기 404조원(은행 278조1천억원+2금융권 125조9천억원)보다 27.4%나 늘어난 것이다.

30대 이하의 대출 증가율은 60대 이상(25.5%·288조6천억원→362조1천억원), 40대(9.2%·478조4천억원→522조6천억원), 50대(2.3%·451조3천억원→461조6천억원) 등 나머지 모든 연령층보다 높았다.

3년간 대출 증가액 역시 30대 이하(110조5천억원)가 1위였다.

대출자 1인당 평균 대출액(대출잔액/차주 수)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계층도 20·30대였다.

우선 은행권에서 30대 이하 대출자 1인당 평균 대출액은 2019년 4분기 5천980만6천원에서 3년 뒤 2022년 4분기 7천81만8천원으로 18.4% 증가했다.

40대(10.4%·9천379만3천원→1억356만7천원), 50대(3.5%·8천773만9천원→9천81만9천원), 60대 이상(2.1%·7천565만원→7천725만6천원)이 뒤를 이었다.

2금융권에서도 30대 이하는 평균 5천413만6천원의 대출을 받고 있었는데, 2019년 4분기(4천101만원)보다 32%나 뛰었다.

40대(18.1%·5천707만원→6천737만2천원), 50대(4.7%·6천424만1천원→6천723만1천원), 60대 이상(3.0%·6천968만5천원→7천179만5천원)보다 월등히 높은 증가율이다.

소득별로는 은행권이나 2금융권에서 모두 고소득자(소득 상위 30%)의 대출이 저소득자(하위 30%)보다 많이 늘었다.

은행에서 3년 새 고소득자 대출이 15.6%(2019년 4분기 653조7천억원→2022년 4분기 756조원) 불어나는 동안 저소득자의 대출은 9.6%(98조1천억원→107조5천억원) 증가했다.

다만 2금융권에서는 고소득자(17.9%·360조7천억원→425조2천억원)와 저소득자(17.0%·82조7천억원→96조8천억원)의 대출 잔액 증가율이 비슷했다. 그만큼 신용도가 낮아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하는 저소득자들이 코로나19 3년간 2금융권에서 많은 돈을 끌어 썼다는 뜻이다.

연령별 가계대출 연체율 추이
연령별 가계대출 연체율 추이

[한국은행 제공]

◇ 작년말 연체율도 일제히 상승…”청년층 신용 위험 우려”

20·30대 청년층과 저소득층 등 취약 차주의 연체율도 조금씩 오르면서, 경제·금융의 잠재적 불안 요소로 지목되고 있다.

은행·2금융권을 통틀어 30대 이하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작년 4분기 현재 0.5%인데, 2020년 4분기 이후 줄곧 0.4%를 유지하다가 0.1%포인트(p) 높아졌다.

40대(0.6%), 50대(0.6%), 60대 이상(0.7%)의 연체율도 작년 말을 기점으로 일제히 상승했다.

중소득 대출자(소득 30∼70%)의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이미 1.0%를 찍었고, 저소득자(0.9%)도 1%에 바짝 다가섰다.

특히 한은은 지난해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앞으로 완화적 금융 여건이 정상화되는 과정(금리 인상 포함)에서 대내외 여건까지 악화할 경우, 취약 차주의 상환능력이 떨어지고 그동안 대출을 크게 늘린 청년층과 자영업자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신용 위험이 커질 우려가 있다”며 20·30대를 지목해 경고한 바 있다.

소득분위별 가계대출 연체율 추이
소득분위별 가계대출 연체율 추이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c) 연합뉴스

<저작권자 ⓒ한인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 사전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