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으로 보는 이태원 참사… 사망자 1명 늘어 155명…부상자 152명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31일 오전 6시 기준 이태원 압사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가 사망자 154명, 중상자 33명, 경상자 116명 등 총 303명이라고 밝혔다.

이태원 참사 사망자가 직전 집계보다 1명 늘어 총 155명이 됐다. 중상자는 3명 줄어든 30명, 경상자는 6명 늘어난 122명으로 부상자는 총 152명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31일 오후 11시 기준 이태원 사고 대처상황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추가된 사망자는 중상자였던 24세 내국인 여성으로, 상태 악화로 이날 오후 9시께 사망했다.

이밖에 다른 중상자 2명은 경상자로 전환됐고, 여기에 경상자 4명이 새로 확인됐다.

현재까지 이태원 사고 사망자는 남성 55명, 여성 100명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 보면 20대가 103명으로 가장 많고, 30대 31명, 10대 12명, 40대 8명, 50대 1명 등이다.

이중 외국인 사망자는 이란, 중국, 러시아 등 14개국 출신 26명이다.

[그래픽] 국내 주요 압사 사고

29일 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해밀톤 호텔 일대에서 일어난 압사 참사 사망자가 30일 오전 기준 151명으로 집계됐다. 과거에도 대규모 인파가 몰린 공연장이나 서울역 등에서 수차례 압사 사고가 있었으나 이처럼 피해 규모가 큰 사례는 찾을 수 없다.

 

[그래픽] 이태원 대형 압사사고 발생(종합2)

 29일 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일대에 핼러윈을 앞두고 최소 수만 명의 인파가 몰린 가운데 해밀톤호텔 인근 좁은 내리막길에 한꺼번에 인파가 몰리면서 대형 압사 참사가 났다.
[그래픽] '이태원 참사' 피해 왜 컸나
29일 밤 이태원동 중심에 있는 해밀톤 호텔 옆 폭 3.2m, 길이 40m, 경사도 10% 정도의 좁고 경사진 길에 인파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대형 참사로 이어졌다.
[그래픽] 압사사고 대응 행동요령
미국 국민들의 공중보건을 책임지는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대규모 인파가 밀집하는 장소에서의 여행자 행동 지침을 자세히 마련해 두고 있다. 특히 ‘군중 쏠림'(stampede) 혹은 ‘군중 압착'(crowd crush)’ 상황을 맞닥뜨렸을 때의 주의사항도 포함돼 있다. CDC에 따르면 이 같은 상황에서 몸을 보호하고 생존하기 위해선 먼저 두 손을 복서처럼 몸 앞으로 모아 가슴을 감싸는 동작을 취해야 한다.

  • 줄지어 조문 기다리는 시민들
    줄지어 조문 기다리는 시민들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31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 분향소에서 시민들이 조문을 기다리고 있다. 2022.10.31 [email protected] (끝)
  • 이태원 사고 희생자 추모하는 시민들
    이태원 사고 희생자 추모하는 시민들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31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 분향소에서 시민들이 조문하고 있다. 2022.10.31 [email protected] (끝)
  • 조문 행렬
    조문 행렬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31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 분향소에서 시민들이 조문을 기다리고 있다. 2022.10.31 [email protected] (끝)
  • 이태원 사고 희생자 추모하는 시민들
    이태원 사고 희생자 추모하는 시민들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31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 분향소에서 시민들이 조문하고 있다. 2022.10.31 [email protected] (끝)
  • 희생자 추모하는 시민들
    희생자 추모하는 시민들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시민들이 31일 서울 용산구 녹사평역 인근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2022.10.31 [email protected] (끝)
  • 헌화하는 시민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