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현황 분석
국내 상장사 5곳 중 약 1곳은 영업 활동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하기도 어려운 한계기업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코스피·코스닥 상장사의 한계기업 비중을 분석한 결과, 작년 말 기준으로 국내 상장사 중 17.5%가 한계기업으로 조사됐다고 22일 밝혔다.
한계기업이란 3년 연속으로 이자비용이 영업이익보다 많은 기업을 뜻한다.
상장사 한계기업 비중은 2016년 9.3%에서 2017년 9.2%로 다소 작아졌다가, 2018년 11.2%, 2019년 13.7%, 2020년 15.2%, 2021년 16.5% 등으로 매년 커졌다.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사의 한계기업 비율은 2016년에는 9.3%로 같았으나 2022년에는 코스피 상장사가 11.5%로 소폭 상승한 반면 코스닥은 20.5%까지 높아졌다. 이는 코로나와 고금리라는 외부 충격에 코스닥 기업이 더 취약했던 결과라고 전경련은 해석했다.
당해연도 영업이익이 이자비용보다 적은 ‘일시적 한계기업’은 지난해 전체 상장사의 30.8%였다.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은 2018년까지는 20%대였으나 2019년 30%대에 진입한 뒤 코로나 발생 첫해인 2020년 34.6%로 최고점을 찍었고, 2021년(30.7%) 이후에는 다시 안정을 찾는 추세다.
업종별로는 지난해 기준으로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의 한계기업 비율이 30.4%로 가장 높았다.
이어 운수 및 창고업(25.8%),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25.0%), 도매 및 소매업(23.2%), 정보통신업(16.8%), 제조업(16.4%), 건설업(15.5%), 금융 및 보험업(3.5%) 등 순이었다.
전경련은 주요 5개국(미국·독일·일본·영국·프랑스)에 중국·한국을 더한 7개국 상황을 조사한 결과, 2021년 기준 미국(20.9%), 프랑스(19.2%), 한국(16.5%) 순으로 한계기업 비율이 높았다고 밝혔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한계기업 비율 상승 폭은 미국이 8.9%에서 20.9%로 12.0%포인트 올라 가장 가파른 양상을 보였고, 한국이 9.3%에서 16.5%로 7.2%포인트 상승해 뒤를 이었다.
2022년 데이터가 존재하는 한국·미국·일본 3개국을 비교하면 한국의 일시적 한계기업 비율이 미국(28.2%), 일본(11.4%)보다 높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2020년부터 확산한 코로나19, 급격한 금리 인상, 최근의 경기 악화 등이 한계기업 증가 요인으로 분석된다”며 “안정적 금융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