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파면] ‘심리적 내전’ 빠진 한국, 사회통합 최대 과제로

서울 시내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반집회가 열리고 있다. 2025.3.22

“한국전쟁 이후 반공주의 극렬했을 때보다 첨예하게 대립”
정치인 편가르기 일상화…정치 갈등이 세대·남녀·지역 갈등으로

대한민국이 ‘심리적 내전’에 휩싸였다.

윤석열 대통령 파면으로 계엄 이후 4개월 넘게 한국 사회를 짓누르던 불확실성은 해소됐지만, 정치인들의 막가파식 진영 간 갈등은 탄핵 국면을 거치며 극심해졌다.

서로를 향해 “반국가세력”, “내란동조세력”이라는 꼬리표를 붙이고, “빨갱이”, “수구꼴통”과 같은 적대적 멸칭으로 돌팔매질하며 갈등의 골은 깊어졌다.

심지어 산불 재난마저 ‘반국가세력의 테러’라는 근거 없는 주장까지 나돌았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5일 연합뉴스에 “한국전쟁 이후 반공주의가 극렬했을 때 못지않게 지금이 더 첨예하게 대립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민주주의에서 정치적 경쟁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상대를 경쟁자가 아닌 적으로 보면 공존이 아닌 공멸하게 된다”고 경고했다.

  • '환호'

    ‘환호’ (서울=연합뉴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사건에 대해 인용을 선고한 4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 인근에서 탄핵에 찬성한 시민들이 환호하고 있다. 2025.4.4 

정치 갈등은 세대·남녀·지역 갈등으로도 번졌다.

한국갤럽이 지난달 25∼27일 전국 만 18세 이상 1천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18∼29세(찬성 57%·반대 28%), 30대(69%·23%), 40대(76%·21%), 50대(72%·23%)에서 찬성 의견이 많았다. 60대(찬성 47%, 반대 50%)는 찬반이 비등했고, 70대 이상(34%·59%)은 반대 의견이 많았다.

세대 갈등은 다양한 모습으로 일상을 파고들었다.

정치 유튜브를 시청하는 부모와 자녀가 갈등에 빠지고, 가족끼리 모여 정치 이야기를 하다 서로 얼굴을 붉히는 것도 흔한 장면이 됐다.

20·30대 남성의 보수화 현상도 두드러졌다. 정치 성향이 다르다는 이유로 젊은 남녀가 서로를 깎아내리고, 연애·결혼에 차질을 빚기도 한다.

영·호남이란 고질적 지역감정과 탄핵 찬반을 동일시하는 모습도 반복됐다.

적대적 관계가 고착화한 사이 법원, 헌재, 언론 등 민주주의 시스템을 이루는 주요 기관에 대한 신뢰도는 처참하게 무너졌다.

윤석열 대통령 파면, 눈물 흘리는 지지자
윤석열 대통령 파면, 눈물 흘리는 지지자

  • (서울=연합뉴스) 헌재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이 발표된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지지자가 눈물을 흘리고 있다. 2025.4.4 

법치주의 최후의 보루인 법원에 대한 공격도 서슴지 않았다.

윤 대통령 구속 직후에는 서울서부지법 난동 사태가 벌어졌고, 구속 취소 이후에는 서울중앙지법 판사를 향한 협박과 비난이 이어졌다.

전원 일치로 파면 결정을 내린 헌법재판관에 대한 협박은 현재 진행형이다.

정치 유튜브는 기성 언론을 빠르게 대체했다. 정제된 사실보다 정치적 선명성을 내세운 유튜버들이 ‘입맛’에 맞는 소식만을 전하면서 확증 편향은 강화됐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 속에 치러질 향후 조기 대선 과정은 탄핵심판 국면 못지않게 격렬하게 전개될지 모른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민 통합의 메시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헌재의 대통령 파면 직후 탄핵 찬반 단체들 손에는 모두 태극기가 들려있었다.

태극기 들고 행진하는 시민들
태극기 들고 행진하는 시민들

(서울=연합뉴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사건에 대해 인용을 선고한 4일 서울 종로구 안국동 일대에서 탄핵에 찬성한 시민들이 태극기를 들고 행진하고 있다.

 

이석연 전 법제처장은 “향후 대선 과정에서 정치인들이 확증 편향에 의한 국민 편 가르기를 또 주장할 것”이라며 “헌법적 가치를 중심으로 국민 통합을 하고, 정치인들은 정치 보복을 더이상 이어가지 말자고 선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회부)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