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매체인 파이낸셜타임즈(FT)는 2일 세계은행은 내년 중국 경기 둔화가 동사이사 주변국으로 확산될 우려가 있다고 밝히며, 동아시아·태평양 지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을 올해와 내년 각각 5.0%, 4.5%로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4월 발표한 전망치(올해 5.1%, 내년 4.8%)보다 하향 조정된 것이다. FT는 “동아시아 개발도상국은 코로나19 대유행, 아시아 금융위기, 1970년대 글로벌 오일쇼크 등 특별한 사건을 제외하면 1960년대 후반 이후 가장 느린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라고 밝혔다.
세계은행은 올해 중국의 실질 GDP 증가율 전망치를 기존과 같은 5.1%로 유지했으나, 내년 전망치는 4.4%, 지난 4월 발표한 4.8%보다 낮췄다. 세계은행 동아시아·태평양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아디티야 마투는 “중국의 엄격한 팬데믹 통제 이후 경제 반등 효과가 예상보다 더디다”고 지적했다.
세계은행은 중국의 소매판매가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데다 부동산 시장이 악화하고 있으며, 가계부채가 늘고 민간부문 투자가 부진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그는 “중국을 포함한 각국 정부들이 서비스 부문의 개혁에 즉각 착수하지 않을 경우 성장둔화는 지속될 것”이라며 “많은 아시아 개발도상국은 부동산 및 투자주도 성장에서 벗어나는 게 쉽지 않다”고 거론했다. 이미 제조업은 성숙단계로 접어든 만큼 서비스 부문의 개혁을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야 한다는 조언이다.
동아시아의 제조업 부문의 성장은 둔화되고 있다. 지난해 2분기에 비해 상품 수출은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 20% 이상, 중국과 베트남에서 10% 이상 감소했다. 특히 인플레이션저감법(IRA) 및 반도체법 등 미국의 보호주의 정책이 시행된 이후 중국과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 등 동남아시아 국가의 전자제품 및 기계 수출이 감소하고 있다는 게 세계은행의 진단이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가계·기업·정부 부채가 모두 빠르게 증가하는 것도 경제 전망을 더욱 어둡게 만든다. 세계은행은 “중국 태국 베트남 등에서 기업과 정부 부채가 모두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정부 부채가 많으면 민관 부문의 투자가 제한될 수 있고 부채 증가로 인한 금리 상승 시 사기업들의 대출 비용이 늘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고위 간부들은 고금리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며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잇달아 내놨다. 미셸 바우먼 연준 이사는 이날 캐나다에서 열린 한 금융 포럼에서 “연준의 잇따른 금리 인상에도 미국 인플레이션이 목표치(2%)보다 훨씬 높은 가운데, 최근 국제 유가가 오르고 있다”며 “한 번이 아니라 여러 차례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도 이날 뉴욕에서 열린 한 경제 심포지엄에서 “올해 한 번 더 금리 인상을 추진할 것인지 여부보다 금리가 얼마나 오랫동안 상승해야 하는지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말했다.
(언론종합)
<저작권자 ⓒ한인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 사전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