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중간재 수입단가 상승이 한국 기업의 생산비용 부담을 높여 물가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동향팀은 29일 ‘BOK이슈노트-대중 수입구조를 고려한 중국 물가의 국내물가 파급영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는 대중 수입 중간재 가격 변화에 따른 국내 생산비용 변동을 통해 중국 물가가 국내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의 국제산업연관표(MRIO)를 이용해 우리나라의 대중 수입구조를 파악했으며, 통관수입 품목별로 대중 수입단가를 직접 산출해 중국 물가의 국내 물가 파급영향 점검에 활용했다.
분석 결과 올해 중국산 중간재의 수입단가 상승에 따라 동 중간재를 투입해 생산하는 품목의 국내 생산자물가 오름세가 확대된 것으로 확인됐다.
품목별로는 ‘화학 및 금속제품’의 경우 원유와 철광석 등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대중 수입단가가 크게 오르면서 국내 생산자가격 상승폭도 확대된 모습을 보였다.
‘전자·광학제품’의 경우에도 반도체와 디스플레이패널을 중심으로 대중 수입단가가 크게 상승하면서 국내 생산자 가격에 전가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다만 중국산 중간재가 많이 사용되는 자동차와 가전 등의 소비자가격에는 중국산 중간재 수입단가 상승 영향이 아직까지 뚜렷하게 전가되지 않은 모습이었다.
이동원 조사국 물가동향팀 차장은 보고서에서 “자동차, 가전의 경우 ‘중간재→최종재’ 가공까지의 생산단계가 길고 복잡한 데다 소비자가격은 생산비용뿐 아니라 세금, 수요여건, 시장경쟁 정도, 기업수익성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중국산 중간재 수입단가의 큰 폭 상승에 따른 기업의 생산비용 증가는 향후 국내 소비자물가에 대한 상방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봤다.
나아가 천연가스·석탄가격 오름세 확대에 따른 중국산 요소와 비료가격 상승은 물류비용 증가와 국산 농산물가격 인상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이 차장은 “향후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지속, 공급 병목 현상 장기화 등으로 중국 생산자물가 및 수출 물가가 장기간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경우 국내 물가에 대해 적지 않은 상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과 아세안5(인도네시아·태국·말레이시아·베트남·필리핀)로부터의 수입소비재가 구입빈도가 높은 생필품을 다수 포함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중국 물가의 높은 오름세 지속이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자극할 가능성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중국은 우리나라의 최대 교역국으로, 지난해 기준 대중국 수입비중은 23%에 달한다.
<저작권자 ⓒ한인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 사전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