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사태가 장기화로 정부는 미얀마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을 보호하기 위해 24시간 돌아가는 소통창구를 가동 중이다. 물리적으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일종의 핫라인인 셈이다. 현지 기업들은 언제든 현지 상황 변화나 애로사항 등을 전달할 수 있고,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를 매일 체크하고 있다.
10일 산업부 통상협력 관계자는 “현지 진출 기업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다”며 “현재 코트라, 대한상의를 통해서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계속 듣고 있다. 우리가 해결할 수 없는 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이나 관계부처와 협의한다”고 말했다.
미얀마 사태가 두 달을 넘기면서 일각에선 정부 차원의 우리 기업 철수 권고가 필요한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3일 미얀마에 체류 중인 재외국민들에게는 철수 권고가 내려졌다. 하지만 정부가 기업에 일괄 철수 권고를 내리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기업마다 상황이 다르고, 사태 진정 이후 미얀마에 다시 진출하기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관계자는 “일률적으로 ‘들어와라’ 이렇게 하기는 어렵다”면서 “비지니스 관계를 유지해야하고, 어느정도 안정이 되면 사업을 재개해야 하니 접고 나오기 힘든 곳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본사가 한국에 있는 기업 뿐만 아니라 미얀마가 본사인 기업도 있고 다양하다. 그런 분들은 철수를 해도 갈 곳이 없다”며 “임시 귀국을 권고 하고 있다. 임시 귀국하면 지원책이 나올 것”이라고 전했다.
항공편, 검역 등 임시 귀국한 기업에 대한 지원책은 현재 중대본에서 관련부처 합동으로 논의 중에 있다.
상황의 심각성을 고려해 산업부는 전날 미얀마 진출기업에 대한 상황점검회의를 통상차관보 주재로 격상해 개최했다. 산업부는 “우리 기업과 국민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외교부는 지난 3일 미얀마 전 지역의 여행경보를 3단계(철수권고)로 상향 조정했다. 체류 중인 재외국민에 대해서는 긴요한 용무가 아닌 한 철수가 권고됐다. 지난 2월 1일 미얀마 사태 발생 이후 군부의 강경진압으로 현재까지 누적 사망자수가 600명을 넘어섰다. [파이낸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