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정부가 계획하는 자동차 인증시험장 정비사업 입찰에 일본 외에 한국과 중국 기업도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지지통신이 8일 보도했다.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에서 일본 기업의 점유율은 96%를 넘고 있지만 최근에는 한국과 중국이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심지어 일본 기업 사이에는 정부 입찰에 낙찰 받지 못하면 기술만 유출된다는 우려까지 일고 있다고 한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서부 자바 버카시의 인증 시험장을 국제 표준에 맞는 심사를 할 수 있는 체제로 정비한다는 계획이다. 전기자동차(EV)를 포함해 19개의 검사 설비를 만들어 ‘동남아 최대 규모’로 건설한다.
정부 관계자는 “정부의 지출을 억제하기 위해 정비 사업은 관민 제휴로 실시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 외에 한국과 중국의 기업이 입찰에 응할 예정이며 이미 입찰 의향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일본에서는 상사를 중심으로 한 기업 연합이 응찰할 전망이지만 위기감은 강하게 일고 있다. 시험장은 조종과 제동부터 연비, 소음까지 폭넓게 자동차의 성능을 검사해 기준에 적합한지를 확인하는 시설이고 첨단 기술도 다루기 때문에 실패하면 기술만 유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이를 국가가 운영하고 있어 ‘기술 유출’의 우려는 없다.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에서 일본계 업체의 점유율은 2020년에 96.7%였다. 최근 약간의 감소 경향에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은 1.6%, 한국은 0.3%에 머무른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2019년 EV개발 추진에 관한 대통령 규정을 제정했다. 2022년부터 본격적인 EV 생산을 시작해 2025년에 하이브리드를 포함한 EV의 시장점유를 25%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급속한 EV화 방침에 한중 기업의 움직임은 대단히 빠르다. 인도네시아 정부에 따르면 태국에 공장을 짓고 있는 현대차는 2022년부터 EV 생산을 시작한다. EV용 배터리 공장도 LG화학과 함께 지을 계획이다.
금년 3월에는 EV 배터리 생산을 위한 국영 지주회사가 발족했지만, 파트너 후보에 오른 외자 기업은 일본과 미국 각 1사인데 반해 중국은 3사, 한국이 2사다. 한국과 중국의 각 1사와는 투자액을 포함한 협의가 구체화되고 있다고 한다.
자동차의 전기화를 진행시키면, 부품의 절반이 불필요하게 된다. 인도네시아에서 차량을 생산하는 일본 자동차 업체에게 EV는 고민스러운 문제이지만, 한국과 중국은 현지 기반이 없다는 점이 오히려 장점이다. 시험장의 응찰에 역풍이 부는 가운데, 일본은 인도네시아 정부에 대해 고용이나 수출 공헌을 강조해 내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