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정보원 ‘디지털 기반 기술혁신과 인력수요 구조 변화’ 보고서
산업계에서 인공지능(AI) 도입 등 디지털 전환이 성공적으로 이뤄진다면 10년 뒤에는 고용 규모가 13.9%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고용정보원은 디지털 전환(자동화 및 AI)이 한국 산업과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디지털 기반 기술혁신과 인력수요 구조 변화’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디지털 전환이 영향을 미치는 산업과 인력 수요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 20개 업종 1천700개 사업체와 업계 전문가 3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우선 제조업은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 서비스업은 업무 편의성 개선과 소비자의 편익 증진을 위해 디지털 혁신·전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고용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디지털 전환 기술로는 AI를 꼽았다. ‘AI 기술을 도입해 현재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중은 18.3%였다.
디지털 기술의 혁신과 전환이 성공적으로 도입되고 활용된다면 고용 규모는 향후 5년 뒤 8.5%, 10년 뒤 13.9%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별로는 음식숙박업(2028년·14.7%), 운수·물류업(2035년·21.9%)에서 고용 감소 폭이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디지털 기술의 도입이 직무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인지적 특성을 가진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에서는 보완·도움(74.2%)을 준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자동화의 영향을 받는 ‘설치·정비·생산직’에서는 대체(63.3%)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이 컸다.
디지털 전환과 활용이 활발하게 전개될 경우 평균 근무 시간은 감소하고 평균임금은 증가하는 등 노동의 질이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다.
보고서는 디지털 전환에 의한 직업별 대체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110개 직업별 전문가 887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델파이(전문가 합의법) 조사 결과도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챗GPT 등 생성형 AI의 도입으로 모든 직업에서 노동력 대체 등 고용구조 변화는 더 빠르게 진행될 전망이다.
다만 디지털 전환의 영향은 직업과 직무 유형에 따라 다를 것으로 예상됐다.
직업 분류별로 보면 숙련도가 필요한 전문가와 대면 업무가 주를 이루는 서비스직은 대체 가능성이 작을 것(21∼40%)으로 본 반면, 사무종사자, 판매종사자, 장치기계조립, 단순노무 직군에서는 대체 가능성이 높을 것(61∼80%)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직무 유형별로는 단순 반복 직무, 반복적이지 않은 육체적 직무, 반복적이지 않은 사고·인지 직무 순으로 노동력 대체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봤다.
보고서는 “디지털 전환이 산업과 고용구조에 미칠 영향에 대응한 제도·정책이 요구된다”며 “디지털 전환과정에서 야기되는 직무 변환과 산업구조 전환에 대비한 직무 재교육 및 훈련, 유휴인력 지원책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번 보고서는 한국고용정보원 누리집(www.keis.or.kr)의 ‘연구성과’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경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