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계 “25조 원대 인도네시아 철강시장 잡아라”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최근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을 최종 체결해 국내 철강업체들이 휘파람을 불고 있다.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지난 10월 16일 CEPA를 최종 마무리해 한국과 인도네시아 간 통상규모가 더욱 커질 전망이기 때문이다.

자유무역협정(FTA)의 일종인 CEPA는 시장 개방을 비롯해 양국 간 포괄적 교류·협력까지 포함한다. 경제적인 측면 외에 문화적-정치적 교류도 한다는 얘기다.

이번 한·인도네시아 CEPA 타결로 한국은 95.5%, 인도네시아는 93%의 수입 관세를 철폐했으며 특히 한국이 인도네시아에 주로 수출하는 품목인 철광과 자동차부품 관세가 없어진다. 이에 따라 자동차 강판 용도로 쓰이는 철강 제품(냉연, 도금, 열연 등), 자동차부품(변속기, 선루프) 등에 대한 관세가 즉시 철폐됐다.

‘2억7000만 명 인구대국·아세안 GDP 최고 수준’ 과시
철강업계가 인도네시아에 주목하는 대목은 인도네시아가 올해 기준으로 인구 2억7062만 명으로 세계 4위 인구 대국이며 국내총생산(GDP)이 1조 421억7330만 달러(약 1236조7470억 원)으로 세계16위 경제대국이라는 점이다. 인도네시아의 경제성적표는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10개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 성장 잠재력이 커지면서 인도네시아는 아세안 국가 가운데 한국과의 교역규모가 2위다.

인도네시아는 해마다 철강 650만~750만t을 수입하고 있다. 이는 자국 내 제철소만으로는 급증하는 철강수요를 따라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인도네시아 철강산업협회는 2025년 2140만t의 철강을 수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게다가 연간 5% 이상인 경제성장률에 힘입어 철강제품 생산량 규모도 점차 커지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철강제품 생산량 규모는 2001년 약 35억4800만 달러(약 4조2000억 원)에서 2016년 195억 1600만 달러(23조 1400억 원)로 커졌으며 올해에는 약 212억 9100만 달러(약 25조 2400억 원)를 초과할 것으로 보고 있다.

포스코, 지난해부터 흑자로…현대차 진출로 현대제철도 진출 검토?
인도네시아 철강시장에는 국내 철강사 가운데 포스코가 제일 먼저 진출했다. 포스코는 2010년 8월 인도네시아 국영철강사 ‘크라카타우스틸’과 손잡고 합작법인 ‘ 크라타카우포스코(PTKP)’ 설립해 2013년 말부터 일관제철소를 운영해오고 있다.

이후 포스코는 PTKP를 가동한 지 4년만인 2018년부터 흑자로 돌아서는 등 인도네시아 철강사업이 순항하고 있다. 이에 더해 CEPA 체결 소식은 포스코에게 날개를 달아줄 가능성이 크다. 한국에서 생산하는 철강제품을 인도네시아에 수출하면 무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가 인도네시아에 1조5000억 원 투자해 생산기지를 구축한다고 발표한 점도 철강업계가 예의주시하는 대목이다. 현대차는 지난달 27일 인도네시아 정부와 현지 공장 건설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자동차 생산단지가 들어서면 공장 인근 철강업체들은 안정적인 매출 확보가 가능하다는 것은 업계에 널리 알려진 정설이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 계열사 현대제철도 인도네시아에서 사업을 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인도네시아 그 동안 철강 수입규제를 강화해 국내 철강업체들이 시장 진출에 어려움이 많았다”라며 “이번 CEPA 체결로 무관세 혜택이 커져 철강업계로서는 절호의 기회를 맞게 됐다”고 평가했다. <Global Economic>

<저작권자 ⓒ한인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 사전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