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제조업 생산기지, 베트남 등 아세안 이전 현상 심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오는 25일부터 열리는 한-아세안특별정상회의를 앞두고 한국 제조업 생산라인의 베트남 등 아세안 국가로의 이전현상과 원인을 분석·발표했다.

제조 생산라인, 2010년 이후 중국→아세안 국가로 재편 가속화
전경련에 따르면 우리 제조업 해외직접투자의 중심축이 2011년 이후 중국에서 베트남 등 아세안 10개국으로 급속히 옮겨가고 있었다. 금액기준으로 전체 해외투자 중 중국 비중이 2001~2010년 43.2%에서 2011년~2019년 상반기 31.0%로 12.2%p 감소한 반면, 같은 기간 아세안 비중은 13.4%에서 21.4%로 8%p 증가했다.

또한 신설 법인 기준으로 중국의 비중은 2001~2010년 64.6%에서 2011년~2019년 상반기 28.4%로 36.2%p 줄어든 반면, 같은 기간 아세안 비중은 13.5%에서 37.7%로 24.2%p 증가해 중소 제조업의 아세안 생산라인 이전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베트남 집중경향이 두드러졌다. 전체 제조업 해외투자 중 베트남 비중은 90년대 3.7%에서 2017년 11.9%까지 확대됐다. 이중 제조업 중소기업의 해외투자금액은 2014년 처음으로 대 베트남 투자금액이 중국을 역전한 이후, 2017년 대중국 투자액(4.3억 달러)보다 1.7배 더 많은 7.2억 달러를 기록해 더욱 뚜렷한 이전 현상을 보이고 있다.

아세안으로 떠나는 이유 ’인건비, 투자인센티브, 젊은 시장‘
한국 대비 약 20% 이하 수준의 낮은 인건비가 한국 제조업의 새로운 해외투자 허브로 아세안 국가가 자리매김한 이유인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무역투자진흥기구 ‘2018년 아시아 진출 일본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싱가포르와 브루나이를 제외한 아세안 8개국의 제조업 근로자 임금수준은 한국의 6~22%에 불과해 생산비용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뿐만 아니라 베트남은 하이테크 산업의 경우, 과세소득발생일로부터 4년간 법인세 면제, 이후 9년간 법인세 50% 감면 등 파격적 투자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올해 7월 베트남 총리가 직접 나서 삼성전자에 공장부지 임대료 면제, 호치민 가전공장에 전용 전력 공급선을 제공한 바 있다.

타 경제권을 압도하는 성장률과 젊은 인구의 비중이 높다는 점도 아세안 투자이전 현상의 한 배경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후 아세안 5개국(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은 10년~18년 평균 5.3%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들 5개국의 세계 GDP 비중은 2007년 4.6%에서 2018년 5.5%로, 교역 비중도 3.5%에서 4.5%로 확대됐다. 뿐만 아니라 젊은 인구(20-54세) 비중이 대부분 50%를 넘는 등, 소비시장으로서의 잠재력 또한 크다.
Tab-2
전경련 “아세안 국가내 투자기회 발굴 및 우리기업 애로 해소 주력할 것”
제조업 생산라인의 아세안 이전현상이 가속화됨에 따라 전경련은 아세안 국가에서의 투자기회 발굴, 이들 국가에서의 우리 기업의 투자애로 해소를 위한 사업을 본격 전개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엄치성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오는 28일 응우옌 쑤언 푹(Nguyen Xuan Phuc) 베트남 총리 초청 ‘한-베 비즈니스 포럼’을 열어 한국과 베트남간 경제협력 강화 및 베트남 투자 환경 개선방안에 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아세안 핵심 5개국(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의 주한 대사 초청 간담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해 한국 기업의 현지 비즈니스 애로를 직접 전달할 예정이다.  <글로벌경제신문>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